|
올 들어 서울 비아파트(연립·다세대 등) 전세가율이 다시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셋값)이 80% 이상이면 이른바 '깡통전세'로 분류되는데 전세가율이 높아진다면 전세 보증금 미반환 사고 등이 늘어날 수 있다.
25일 한국부동산원의 임대차 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은 71.1% 수준이다.
이는 최근 3개월 동안 실거래 자료를 기반으로 나온 수치이며 ▲지난해 12월 68.5% ▲올해 1월 70.4% ▲2월 71.0%에 이어 세달 연속 상승세다.
앞서 지난해 서울시 내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은 크게 하락했다. 5월부터 강화된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전세보증 가입 기준 강화와 하락한 공시가로 인해 전셋값이 급락하면서 하락 폭을 키웠다.
지난해 1월 연립·다세대 전세가율은 78.0%이었지만 7월 들어 70.7%로 7.3%포인트 줄었다. 전세사기와 역전세 대란 등으로 전세 수요가 줄면서 전세가가 떨어지자 전세가율도 함께 줄어든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최근 전세가율이 상승하면서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갭투자'(전세 끼고 주택 매입) 증가에 따른 우려는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세 수요 감소에 따라 매매 또한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연립·다세대 거래량은 ▲지난해 12월 1996건 ▲1월 1981건 ▲2월 1876건 등 감소하는 추세다. 최근 전세가율 상승은 전세가 상승이 아닌 매매가가 상대적으로 더 큰 폭으로 하락함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풀이된다.
올 1분기(1~3월) 주택 거래량 중 전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11년 이후 역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 비중이 축소된 배경에는 빌라와 단독주택의 월세화 영향이 커진 것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