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감사 시즌을 맞아 국회와 한국수력원자력 안팎에서 월성원전 전부 폐쇄와 관련해 논란이 일고 있다.
논란의 발단은 최근 박형수 국민의힘 의원(경북 의성·청송·영덕·울진)실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이 월성원전 1·2·3·4호기 전체의 영구 가동중지를 시도하는 정황이 드러났다고 밝히면서 시작됐다.
박 의원실은 그 근거로 한수원 원전해체사업부에서 지난해 8월 한수원 안전경영단장을 수신자로 하는 사내 공문에서 월성원전의 냉각수로 쓰이는 중수 전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시설 신축 공문을 시달한 점을 들었다.
박 의원실은 해당 공문에서 한수원이 월성 원전 1·2·3·4호기의 중수 2000톤을 모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인 중수 드럼 1만개를 저장할 수 있는 시설의 신축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 영구정지된 월성1호기 뿐만 아니라 월성 2·3·4호기의 폐쇄까지 염두에 두고 중수 저장시설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수원측은 "(영구정지가 결정된) 월성 원전 1호기 해체시 필요한 500여톤에 약간의 여유량을 고려해 1000톤 규모의 중수 저장시설을 설계중"이라며 "월성원전 2~4호기는 가동중단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2022년 3월 중수 저장시설 용역착수 당시는 월성 2~4호기에 대한 계속운전 추진에 대해 결정된 바가 없어 4개 원전 전체의 중수 2000톤을 고려해 설계를 수행했다"며 "현재는 2~4호기 계속 운전 추진에 따른 해체사업 여건 변화로 시설 규모를 1000톤으로 변경해 설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한수원은 지난 6월5일 한전기술과의 계약변경동의서를 체결하며 중수 저장시설 축소를 명기해 놓았다.
그러나 박 의원실에서는 계약변경동의서가 제결된 지 한 달이 채 안된 시점인 2024년 6월28일 한전기술과의 변경 도급계약서에서도 여전히 2100톤을 고려한 설계 규모가 들어있다고 주장하며 의구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박 의원실 관계자는 "한수원이 논란을 불식시키려면 지난 6월28일 한전기술과 체결한 변경 도급 계약서에서 중수 저장시설 규모를 여전히 2100톤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에 대해 먼저 해명을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