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김진표 전 국회의장,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성일종 국방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대개조를 위한 개헌 토론회'에 참석해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5.2.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김진표 전 국회의장,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성일종 국방위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대개조를 위한 개헌 토론회'에 참석해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5.2.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서미선 기자 = 국민의힘이 여권뿐 아니라 야권 원로까지 초빙해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론에 불을 지피면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전방위 압박에 나선 모양새다.

국민의힘은 6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당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6선으로 국회 최다선인 주호영 의원을 임명, 당 자체 개헌안 마련에 돌입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최근 기자들과 만나 개헌 관련 "정치 체제 부분이라도 손댈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만큼 권력구조 개편에 중점을 둔 '원포인트' 개헌 추진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날 오전 비대위 회의 뒤엔 권 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와 주 의원이 나란히 같은 당 성일종 의원이 주최한 '국가 대개조를 위한 개헌 토론회'에 참석했다.

권 원내대표는 "'87체제' 이후 8명의 대통령 중 성공한 대통령이 누가 있는진 선뜻 대답하지 못할 것"이라며 "이건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제도의 문제가 있다는 방증"이라고 필요성을 역설했다.


당내에선 4년 중임제와 내각책임제, 이원집정부제 등이 거론되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최근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한 상·하원 양원제 도입 필요성을 언급했다.

권 위원장은 토론회 참석 뒤 연 신년 간담회에서 "지금 구체적 안을 갖고 있진 않지만 여당은 개헌특위에서 우리 안을 만들어 시민사회 혹은 일부 야당, 헌정회 등 원로그룹과 얘기해 나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특히 국민의힘은 여권뿐 아니라 야권 원로 등 사이에서도 개헌론이 나오고 있는 만큼 이를 동력삼아 논의에 힘을 실으려는 분위기다. 개헌에 유보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 대표를 개헌을 고리로 압박해 정국 주도권을 가져오려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성 의원이 주최한 토론회엔 실제 여야 원로들이 두루 자리했다. 성 의원은 토론회 전 이 대표가 "개헌 열쇠를 쥐고 있다"며 '공개 초청장'을 띄우기도 했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권력구조에서 의회와 정부가 같이 갈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가장 적합한 게 내각책임제"라며 "다음 대통령 출마하는 사람이 개헌을 약속하도록 국민과 언론, 정치 모두 엄청난 압력을 행사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계엄을 원인으로 한 탄핵 사태로 국격도 엄청나게 추락했다"며 "정치적 변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개헌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대철 헌정회장은 "가장 큰 시대적 소명 중 하나가 제왕적 대통령제를 고쳐 내각책임제, 이원정부제로 가는 것"이라며 "다시 제왕적 대통령이 나타나지 않게 반드시 '선개헌 후대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출신 김진표 전 국회의장은 다음 대선에서 4년 중임제로 대통령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해 총선·대선이 함께 치러지게 해 여소야대 가능성을 줄여야 하고, 차기 대통령이 의원내각제 개헌을 하겠다는 정치적 약속을 했으면 좋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