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광역시와 울산시, 경상남도 실국장들이 지난 12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를 방문해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와 조기 구축을 공동 건의했다고 13일 밝혔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2023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해 오는 6월 그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2조5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총연장 48.7㎞에 11곳의 정거장(부산 2곳)이 설치된다. 부울경 핵심축인 부산(노포)~양산(웅상)~울산(KTX울산역)을 잇고 부산1호선, 정관선, 양산선, 울산1호선 등 단절된 4개의 도시철도와 직접 연계된다.
부울경 3개 시도는 이날 방문을 통해 수도권 집중과 비수도권 공동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철도 중심의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망 확충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광역권 간 대동맥 역할을 할 광역철도가 개통되기 위해서는 이번 예비타당성조사 통과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3개 시도는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서도 힘을 합치기로 했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연결돼 부울경 광역철도망을 완성할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는 KTX 울산역을 출발해 양산을 거쳐 김해(경전선)까지 연결되는 노선으로 지난해 12월에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했다.
광역철도는 지역 간 주요 거점을 이동하는 시간과 거리를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핵심 교통수단이나 부울경은 수도권에 비해 광역철도망이 미비해 단일 경제·생활권 형성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21년 '비수도권 광역철도 선도사업'으로 부산~양산~울산, 대구~경북, 광주~나주, 대전~세종~충북, 용문~홍천, 5건을 선정했다.
지난해 6월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상남도지사가 부울경 초광역 현안 광역철도망인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조기 구축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전달했다.
임경모 시 도시혁신균형실장은 "부울경 1시간 생활권을 만들고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핵심 사업인 광역철도망 확충의 필요성과 염원을 부산, 울산, 경남이 함께 간곡히 전달했다"며 "앞으로도 3개 시도는 광역철도망 구축을 위해 한마음으로 매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