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텔레콤이 KT, LG유플러스 등 다른 통신사들과 점차 고조되는 사이버 공격 위협에 공동 대응을 논의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22일 오전 서울 중구 삼화타워에서 해킹 사고 이후 수습 과정에 대해 설명하는 일일브리핑을 열고 KT, LG유플러스 등과 국가 단위의 지능형 지속 공격(APT) 관련해 공동으로 대응 전선을 꾸리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류정환 SK텔레콤 네트워크인프라 센터장은 "APT 공격은 발견과 예방이 어렵다"며 "통신 3사 사이에 공동 논의가 진행되면 참여하겠다"고 전했다.
해킹 사고 이후 진행하는 네트워크 진단 상황을 두고선 구체적 언급을 피했다. 류정환 센터장은 "국내에서 이름이 알려진 화이트해커 집단과 협력 중으로 이번에 제대로 진단해서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정보기술 투자 노력이 부족하다는 비판에는 규모를 두고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 류 센터장은 "현재 진행 중인 네트워크 진단 결과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얼마나 더 투자해야 할지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희섭 PR센터장은 "SK그룹 차원에서 정보보호혁신위원회를 발족해 정보보호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며 "글로벌 수준의 보안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유심 교체 우선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리점에 대한 지원책도 언급했다. 신규영업이 막혀 손해를 본 대리점은 매장별 500만원의 대여금을 지원하고 3개월 무이자를 적용 중이다. 단말기 할부채권 이자도 지원한다.
임봉호 SK텔레콤 MNO사업부장은 "신규영업 중지 기간에 대한 보상은 해지 기간에 맞춰서 소통할 계획"이라며 "가입 3개월 이내 번호이동 하는 가입자에 대한 판매수수료 환수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