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를 두고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공개적으로 비판에 나섰다. 사진은 지난 21일(현지시각)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그가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모습. /사진=로이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정부의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통제로 인해 엔비디아 저사양 H20 칩마저 수출이 제한되면서 최대 55억달러 손실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황 CEO는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 정책은 잘못됐으며, 엔비디아뿐 아니라 전체 반도체 산업에 큰 타격을 입혔다"고 지적했다.

지난 21일(이하 현지시각) 타이완 자유시보에 따르면 황 CEO는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 행사에서 "조 바이든 행정부 들어 미·중 간 제재가 강화된 이후 엔비디아의 중국에서의 AI 칩 시장 점유율은 4년 전 95%에서 50%로 급락했다"고 밝혔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부터 시작된 수출 제한은 저사양 H20 반도체 수출에도 적용돼 손실 규모를 더욱 키웠다"고 덧붙였다.


황 CEO는 "중국은 인공지능(AI) 개발 및 연구의 절반이 이뤄지는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AI 연구 기업인 딥시크도 엔비디아의 칩을 기반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컴퓨터 시장으로, 수출 통제는 사실상 모든 반도체 기업에 손실을 안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전체 매출 약 14%에 해당하는 170억달러를 기록했다.

황 CEO는 "미국의 수출 통제로 인해 화웨이 등 중국 경쟁사가 자체 AI 하드웨어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의 AI 연구자들은 자체 칩을 사용하는 차선책을 택하고 있으며 오히려 수출 규제가 중국 산업의 자립을 촉진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정부의 AI 반도체 수출 제한 조치 이후, 텐센트와 알리바바 등 중국 대형 IT 기업들이 국산 AI 칩 구매를 확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황 CEO는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을 겨냥해 성능이 더 낮은 제품을 추가로 출시할 계획은 없다"며 "성능을 더 낮추면 시장성이 사라진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지난 15일부터 발효 예정이었던 바이든 행정부 AI 확산 규칙에도 우려를 나타냈다. 이 규칙은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AI 칩에 대해 3단계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황 CEO는 "AI 확산을 통제하려는 기본 가정이 잘못됐다"며 "미국이 기술적으로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확산을 제한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를 극대화하고 가속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