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M(제너럴모터스) 한국사업장 노조가 역대급 임금협상안을 들고 나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격 부담을 안은 사측과 대립각을 세울 기세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GM 한국사업장 노조는 1인당 6300만원이 넘는 일시금 등 대규모 보상과 역대 최대치에 달하는 임금 인상폭도 요구한다.
노조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올해 임금 협상 요구안을 확정 짓고 사측에 협상 시작을 알리는 공문을 발송했다.
노조의 올해 임금 협상 요구안은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당기순이익의 15% 성과급 ▲통상임금의 500% 격려금 등이다.
노조는 당기순이익의 15%를 성과급으로 지급하면 1인당 성과급 지급 규모가 4136만원이라고 추산했다. 통상임금 500% 격려금은 1인당 2250만원이 계산돼 단순 합산 수치로 따진 1인당 일시금은 6386만원이다.
노조는 이와 별도로 올해 협상에서 미래 발전 특별 요구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GM 한국사업장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신차 개발과 전기차 전환 계획 등을 사측이 구체적으로 제시하라는 내용이다.
해당 요구안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국내 개발 재개 ▲전기차 및 전기차 관련 부품 국내 생산 ▲내수 시장 활성화를 위한 신규 차종 생산 ▲생산 차종의 엔진 직접 생산 등이 포함됐다.
업계에선 GM 한국사업장 노조가 이 같은 대규모 국내 투자 계획을 제시한 배경에 대해 한국시장 '철수설'을 잠재워달라는 요구로 본다.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로 불거진 GM 한국사업장 철수설을 회사가 대규모 투자 계획 제시로 불식시켜 달라는 의도다.
노조의 이 같은 요구는 현재 회사가 처한 관세 리스크 등의 사정과 대비돼 대립각을 세울 것으로 우려된다. GM 본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영향으로 올해에만 최대 7조원에 달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측한다.
GM 한국사업장의 경우 지난해 글로벌시장에서 총 49만9559대를 팔았고 이 가운데 80%가 넘는 약 42만대를 미국 시장으로 수출해 사실상 미국으로의 수출 기지 역할을 맡고 있다. 그 만 큼 관세 리스크가 큰 사업장이고 매출과 영업이익 동반 감소 가능성도 커졌다.
GM 한국사업장과 노조는 조만간 정식으로 상견례를 갖고 본격적으로 임금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