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폭염 위기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되면서 발송되는 안전안내 재난문자가 한국어로만 표기돼, 약 246만 명의 외국인 주민들이 안전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재난문자는 재난 경중에 따라 위급재난문자, 긴급재난문자, 안전안내문자로 구분된다.
긴급재난문자는 민방공 등 국가적인 위급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위급재난문자는 지진이나 집중호우 등 자연·사회 재난이 발생했을 때 전송된다. 안전안내 문자는 안전주의가 필요할 경우 발송된다.
이 중 위급·긴급재난문자에는 영문 표기가 병행돼 있다. 그러나 안전안내문자는 한국어로만 적혀 있어 폭염에 노출된 외국인들은 안전 요령 등 필요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
재난·안전 앱인 'Emergency Ready App(외국인용 안전디딤돌 앱)'을 통해 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지만, 별도로 앱을 설치해야 하고 인터넷이 연결된 상황에서만 안내받을 수 있어 접근성이 떨어진다.
지난 18일 기준 해당 앱의 누적 다운로드 수는 14만3265건이다. 외국인 주민 1명이 앱을 한 번 다운로드했다고 가정했을 때, 앱을 사용하는 외국인 주민은 전체(246만명)의 5.8%에 불과하다.
외국인용 안전디딤돌 앱은 영어·중국어·일본어·베트남어·태국어 등 5개 언어만 지원해 언어 접근성도 떨어진다.
전체 외국인 주민 5명 중 1명은 해당 언어들을 모국어로 하지 않는 캄보디아, 우즈베키스탄, 네팔 등에서 온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앱은 한국어로 된 재난문자를 구글 번역기를 통해 5개 언어로 옮기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행안부는 올해 하반기에 ▲러시아어 ▲우즈베크어 ▲네팔어 ▲인도네시아어 ▲타갈로그어 ▲ 크메르어 ▲몽골어 ▲미얀마어 ▲신할리어 ▲벵골어 ▲우르두어 ▲프랑스어 ▲아랍어 ▲스페인어 등까지 확대해 19개 언어를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