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의 소환 요구에 윤석열 전 대통령이 출석하지 않은 것에 대해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소환에 불응한 것으로 간주하고 대응책을 논의할 방침이다.
29일 뉴시스에 따르면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특검 사무실이 위치한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특검 관계자는 출석요구 시각까지 나오지 않으면 출석 불응으로 간주하는지에 대해서 "그렇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3월 대선 당시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로부터 공짜 여론조사를 받고 그해 6월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지방선거 경남도지사·강원도지사 선거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조사 중이다.
특검은 해당 사건 수사를 위해 지난 21일 윤 전 대통령이 수용된 서울구치소에 이날 오전 10시 특검 사무실로 나와 조사를 받으라는 소환 통지서를 보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은 소환 통보로부터 1주일이 넘게 특검에 변호인 선임계조차 내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이날 오전까지 특검에 선임계를 내거나 조사에 대한 의견을 전혀 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청구한 영장이 발부돼 지난 10일부터 구속 상태다.
윤 전 대통령 측은 구속영장 발부 직후인 지난 10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판사 지귀연)의 내란 우두머리 등 혐의 재판에 불출석 사유서를 내고 출석하지 않았다. 내란 특검 첫 번째 출석 요구(11일)에도 건강상 이유로 조사를 받기 어렵다는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내란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다시 구속된 후 3차례 인치를 지휘했다. 하지만 서울구치소 측은 전직 대통령을 상대로 물리력까지 행사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후 서울구치소 측이 내란 특검에 인치를 집행할 인력 파견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내 양측이 논의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의 구속적부심 청구로 중단됐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8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자신의 구속적부심 심문에는 출석했다. 그러나 구속적부심 심문이 기각된 후에는 재판이나 특검 소환 조사에 불출석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