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9월 금리인하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 뉴욕증시가 약세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관세 정책 영향을 더 지켜보겠다는 연준의 관망 기조가 시장을 실망시켰다.
이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0.38% 내린 4만4461.2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12% 하락한 6362.90에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0.15% 오른 2만1129.67로 홀로 상승 마감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했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9월 금리인하 전망에 대해 "현 정책이 부적절하게 미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한 파월 의장은 관세 정책과 관련해 "동시에 해결해야 할 많은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그 과정의 끝이 매우 가깝다고 느끼지 않는다"고 말해 연준의 관망 기조가 장기화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로 인해 주가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기준금리 동결 발표 때까지 전장 대비 강세를 유지하던 S&P 500 지수는 파월 의장 기자회견 이후 장중에 하락으로 전환했다.
이날 발표된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속보치)은 3.0%(전기 대비 연율)로 1분기 마이너스 성장(-0.5%)에서 회복했다. 그러나 이는 관세 정책 영향에 따른 수입 급감 때문으로, 미국 경제 수요의 기조적 흐름은 약화 조짐을 나타냈다.
9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식으면서 채권 수익률은 상승했다.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은 뉴욕증시 마감 무렵 4.37%로 전장 대비 4bp(1bp=0.01%) 올랐고, 2년 만기 수익률은 3.94%로 6bp 상승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시장은 파월 의장 회견 후 연준이 9월 회의까지 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할 확률을 54%로 높여 반영했다. 전날까지는 35%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