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와 함께 60대 이상 범죄율이 급증하는 사회문제가 발생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고령화와 함께 60대 이상의 범죄 건수가 10년 동안 두 배 이상 급증했다.

지난 24일 경찰청이 발간한 2024 범죄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범죄 전체 건수는 158만3108건으로 집계됐다. 연령별 피의자는 50대 26만2570명(20.6%)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40대(26만991명·20.5%) ▲60대 이상(23만8882명·18.8%) ▲20대(23만2924명·18.3%) ▲30대(21만6386명·17%) ▲18세 이하(6만1729명·4.8%)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60대 이상 피의자 비율이다. 매년 꾸준히 증가해온 60대 이상 범죄 건수는 올해 처음 20대를 앞질렀다. 10년 전인 2014년 통계(8.8%)와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최근 5년 동안 20대, 30대, 40대, 50대 범죄 비율이 전체적으로 감소한 것과 대조된다.

지난해 살인 피의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연령대도 60대 이상이다. 지난해 검거된 살인 피의자 278명 중 60대 이상은 64명(23.2%)으로 가장 많았다. 50대와 60대 이상을 합치면 41%에 육박한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 살인 피의자도 44명이나 됐다. 이중 무직 29명(65.9%), 초범 12명(29.5%)으로 가장 많았다.

실제로 최근 화제가 됐던 강력 범죄 피의자 중 60대 남성의 비율이 높았다. 지난달 인천 연수구 한 아파트에서 사제 총기로 아들을 살해한 피의자, 지난 5월 서울 지하철 5호선에 불을 지른 피의자, 지난 4월 층간 소음 끝에 직접 만든 화염방사기로 이웃집에 불을 지른 남성 등도 모두 60대다.


온라인상에선 이들을 일명 '육대남'이라 부른다. 전문가들은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며 설 자리를 잃은 세대들의 역할 축소와 상실감 등이 범죄율 상승의 원인이라 지적했다. 또 은퇴 후 경제적 빈곤, 의료기술의 발달로 신체적 건강 수준이 과거에 비해 크게 향상된 점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