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정무수석이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제일 피해 본 사람은 이재명 대통령이라고 말했다. 사진은 우 수석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정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를 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8·15 광복절 정치인 특별사면으로 가장 피해를 본 사람은 이재명 대통령"이라고 밝혔다.

21일 뉴시스에 따르면 우 수석은 이날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대통령이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사면·복권을 결단한 배경에 대해 "무슨 이익을 보기 위해 한 게 아니고 '피할 수 없다면 할 수밖에 없다'고 해서 고뇌 어린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말했다.


우 수석은 광복절 특별사면에 대해 "대통령의 가장 큰 관심 사안은 민생 사면이었고 가능한 (규모를) 키워서 정권교체 효능감을 키웠으면 좋겠다고 했다"며 "정치인 사면은 매우 후반부에 논의됐다. 발표하기 며칠 전에 논의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치인 사면 원칙으로 ▲대통령 측근은 제외할 것 ▲각 당 요구는 사회통합 차원에서 우선 반영할 것 ▲선거법 관련자는 제외할 것 등을 정했다고 밝혔다.

우 수석은 "그렇게 하다 보니까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같은 분을 제일 먼저 제외했고 선거법 위반자를 제외하면서 저희가 수집한 각 당 (사면) 요청자 규모를 많이 줄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사면 여부를 놓고 이 대통령 고심이 깊었다"고 말했다.

우 수석은 "대통령 임기 중 조 전 대표 사면을 피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정무적 판단을 먼저 했다"며 "종합적으로 고려해 취임 초에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해서 사면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 대통령께 부정적 여파를 감안하겠냐고 물어봤을 때 대통령께서는 고민하시다 하계휴가를 갔다"며 "(대통령이) 휴가 중 저에게 연락해 '피해가 있더라도 해야 할 일을 하자'고 해서 조 전 대표 사면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무슨 이익을 보기 위해 조 전 대표를 사면한 게 아니고 피할 수 없다면 사면을 할 수밖에 없다고 해서 대통령께서 고뇌 어린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지지율을 떨어뜨린 주범이기도 해서 (사면의) 주무 수석으로서 괴로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