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사진제공=김위상 국민의힘 국회의원실


건물 경비원의 산업재해 건수가 올해 처음으로 5000건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 노동자와 1인 교대근무 중심의 특수한 근무 환경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2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국민의힘 국회의원(비례대표)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건물 종합관리업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경비원 산재 승인 건수는 2020년 3805건에서 2021년 4213건, 2022년 4383건, 2023년 4760건, 2024년 4984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상반기 승인 건수만 2549건으로 연말에는 5000건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승인 사유별로는 사고가 전체의 70~80%를 차지하며 매년 95% 내외의 높은 승인율을 보였다. 반면 질병으로 인한 승인율은 40%대에 머무르며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을 드러냈다.

현장에서는 단순한 안전사고 외에도 입주민의 폭언·폭행 등 '갑질'이 산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다수의 경비원이 입주자대표회의나 관리사무소의 영향력 아래 근무하는 구조 탓에 피해를 입고도 문제 제기가 어려운 현실에 놓여 있다.

김 의원은 "경비원은 주민 생활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일하지만 법과 제도의 울타리에서는 여전히 소외돼 있다"며 "고령 노동자와 1인 교대근무라는 근무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산재 예방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