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 4.5일제 근무 도입하자! 실질임금 인상을 촉구한다!"
세종대로를 메운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 조합원들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주제가 '골든'에 맞춰 팔을 흔들며 외쳤다.
금융노조는 26일 오전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사거리에서 집회를 열고 2022년 9월 이후 3년 만에 총파업 투쟁에 돌입했다.
금융노조는 지난 23일 오후 2차 대대표 교섭이 결렬되자 총파업을 확정했다. 지난 1일 진행된 조합원 찬반투표에서는 투표율 97.1%, 찬성률 94.98%를 기록했다. 은행권 총파업은 2022년 9월 이후 약 3년 만이다.
노조는 ▲주 4.5일제 전면 도입 ▲임금 5% 인상(3.9%로 수정 제안) ▲신입사원 채용 확대 ▲정년 연장 등을 요구 중이다. 올해 3월 산별중앙교섭 요구안을 제출한 뒤 금융산업사용자협회와 38차례 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다.
지난 24일 금융노조는 총파업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은행과 금융지주들의 수익은 해마다 확대돼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배당은 늘렸지만 그 이익은 노동자의 희생과 고객의 불편 위에 쌓인 것"이라며 "금융산업의 성장은 노동자를 갈아넣어 만들어낸 왜곡된 성장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조합원은 오는 26일 총파업에 돌입한다"며 "이는 수개월간 이어진 교섭에서 사측이 끝내 책임 있는 답을 내놓지 않은 결과"라고 주장했다.
![]() |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전날(25일) 조합원들에게 보내는 담화문을 통해 "2002년 투쟁을 통해 대한민국 최초의 주 5일제를 얻어냈듯이 주 4.5일제를 우리 힘으로 열어내자"며 총파업 참여를 촉구했다.
다만, 당초 전망과 달리 실제 참여율은 저조했다. 금융노조는 전체 조합원 약 10만명의 80%에 해당하는 약 8만명의 참여를 예상했지만 시중은행 노조가 대거 빠지면서 분위기는 한풀 꺾였다. 주 4.5일제 도입 등 파업 명분이 노조 내부에서조차 충분한 공감을 얻지 못한 모습이다.
특히 신한은행 노조는 이번 총파업에 아예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 앞서 금융노조가 진행한 총파업 찬반 투표에서 신한은행 노조 투표율이 50%에 미치지 않아 불참을 결정했다.
이밖에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각 100여명, 하나은행에선 50여명 수준에 그쳤다. 과거 2022년 총파업 당시에도 시중은행 참여율은 9.4%, 5대 은행은 0.8%에 그치며 동원력이 떨어졌다.
이미 억대 연봉을 받는 은행원들이 추가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데 대해 사회적 공감대를 얻기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5대 은행 직원 1인당 보수는 ▲하나은행 1억2000만원 ▲신한은행 1억1900만원 ▲ KB국민은행 1억1800만원 ▲NH농협은행 1억1500만원 ▲ 우리은행 1억1400만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금융노조는 광화문에서 시작해 이후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까지 행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