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내년 핵물질 생산과 핵무기 연구 계획을 점검했다.
북한 노동신문은 27일 김 총비서가 "지난 26일 핵무기연구소를 비롯해 핵 관련분야의 과학자·기술자들을 만나 핵물질생산 및 핵무기생산 관련 중요협의회를 지도했다"라고 보도했다.
김 총비서는 이 자리에서 핵물질생산 부문 2025년도 능력확장계획 추진 실태 보고를 듣고, 핵무기연구소의 최근 사업과 중요 생산활동 등을 점검했다.
김 총비서는 "핵물질생산 부문과 핵무기연구소에서 우리 당이 제시한 새로운 중대 전략의 두 가지 과업을 철저히 관철한 결과 나라의 핵 능력 고도화의 중요 고리들이 완벽하게 풀렸다"라고 했다.
김 총비서는 핵물질생산 부문과 핵무기연구소 '새년도 계획사업의 규모와 발전 전망'을 점검하고 "날로 장성하는 우리 국가의 핵기술 역량과 강화된 능력"이라며 "전략적 핵기술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우리 당에 있어서 커다란 고무로 된다"라고 했다.
그는 "강한 억제력 즉 핵 무력을 중추로 하는 힘에 의한 평화유지, 안전보장 논리는 우리의 절대불변한 입장"이라며 "국가의 핵대응 태세를 계속 진화시키는 것은 공화국의 안전 환경상 필수적인 최우선 과제이고 국가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가장 정확한 선택이며 우리가 견지해야 할 변할 수 없는 의무"라고 강조했다.
김 총비서는 "우리는 국가의 주권 안전과 이익, 발전권을 믿음직하게 담보할 수 있는 핵 방패와 검을 부단히 벼리고 갱신해야 한다"면서 "당과 정부는 핵기술 분야에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모든 가능성과 조건을 최우선으로 제공·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김 총비서는 핵기술 분야 전문가들이 당 핵 역량 증강 노선의 진수를 깊이 자각하고 특출한 연구 성과와 빛나는 증산 실적으로 당 제9차 대회를 맞이해야 한다면서 "나라의 자위적 핵 능력을 끊임없이 고도화해 나가는데 나서는 강령적인 과업"을 제시했다고 노동신문은 전했다.
최근 김 총비서가 최고인민회의 '중요연설'을 통해 미국이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면 '대화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자신들의 핵 능력을 거듭 부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미는 '비핵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