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현지시각)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압박 완화 발언이 전해지자 급등하며 장을 마쳤다. 사진은 NYSE 객장. /사진=머니투데이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 압박이 완화되자 13일(현지시각) 급등하면서 장을 마쳤다. 반도체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

이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29% 상승한 4만6067.58에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1.56% 상승한 6654.72에 장을 마쳤으며, 나스닥 종합지수는 2.21% 오른 2만2694.61을 기록했다. 특히 나스닥은 5월27일 이후 최대 일일 상승폭을 기록했다.


지난주 후반 강경발언을 내놓았던 트럼프 대통령은 주말에는 "중국을 해치고 싶지 않다"며 "모든 것이 괜찮을 것"이라고 완화된 제스처를 내놨다. 이에 투자자들의 무역전쟁에 대한 불안감이 완화됐고 시장은 반등세로 돌아섰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릴 한국에서 중국과 만날 예정"이라며 "양국은 무역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무역 갈등 완화에 이어 AI 분야에서 호재가 전해지면서 뉴욕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리며 반도체와 인공지능(AI) 관련주가 급등했다. 브로드컴은 오픈AI와의 공식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10% 가까이 급등했다. 스타트업 최초로 자체 AI 프로세서를 생산한다고 밝히면서다.

이와 함께 오라클은 최소 두 곳의 증권사로부터 목표주가 상향 조정을 받으며 5.1% 상승했다. 엔비디아는 2.8%,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6% 이상 상승했으며,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PHLX)는 약 5% 올랐다.

CFRA 리서치의 수석 전략가 샘 스토발은 로이터에 "AI가 여전히 시장의 모멘텀을 이끌고 있기에 투자자들이 저가 매수에 나선 것은 놀랍지 않다"고 했다. 다만 그는 "중국과의 갈등이 남아있는 한 투자자들은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S&P500 구성 종목의 80%가 상승 마감하는 등 대형주뿐 아니라 중소형주 전반으로 매수세가 확산됐다. 특히 기술주들의 반등세가 뚜렷했다. 많은 IT 기업들이 중국산 희토류에 의존하고 있어 무역 긴장이 완화될 것이란 기대가 호재로 작용했다.

전문가들은 단기 반등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경고했다.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정지)이 이번 주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15일 급여 지급 마감일을 앞두고 예산 협상이 교착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