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10월24일 제2차 세계대전과 같은 전쟁의 참화를 막기 위해 국제연합이 출범했다. 사진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제80차 유엔 총회에서 기조연설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1945년 10월24일 제2차 세계대전의 폐허 속에서 국제연합(UN)이 공식 출범했다.

유엔은 분쟁의 평화적 해결, 인권 보호, 사회·경제 발전을 목표로 내세우며 국제 질서의 새 틀을 마련했다. 이날은 '유엔의 날'로 지정돼 전 세계가 평화와 협력의 가치를 되새기는 기념일로 이어지고 있다.

전쟁을 막는 울타리, 협력의 무대가 되다

유엔은 1945년 6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50여 개국이 서명한 '유엔 헌장'이 같은 해 10월24일 발효되면서 공식 창설됐다. 전쟁을 막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집단안전보장 체제를 세우고 인권과 복지를 증진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었다.


출범 당시 유엔에는 51개국이 창립회원으로 참여했다. 이후 식민지 해방과 신생국의 독립이 이어지며 회원국 수는 꾸준히 늘어 현재는 193개국이 정식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가입은 안전보장이사회 추천과 총회의 승인을 거쳐야 하며 회원국은 유엔 헌장의 원칙을 준수하고 국제 평화·안전 유지에 기여해야 한다. 전 세계 거의 모든 주권 국가가 참여하고 있는 만큼 유엔은 사실상 국제사회의 '보편적 협의체'로 기능한다.

출범 이후 유엔은 안보리를 중심으로 분쟁을 조정하고 필요할 경우 평화유지군(PKO)을 파견해 무력 충돌을 방지했다. 또 유니세프(UNICEF), 세계보건기구(WHO), 난민기구(UNHCR) 등 산하 기구를 통해 구호와 개발 협력을 이어왔다.

1948년에는 '세계인권선언'을 채택해 인류 보편의 가치와 기준을 세웠다. 이후 환경, 보건, 교육, 기후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 규범을 마련하며 협력의 장으로 자리 잡았다.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대한민국과 유엔'

대한민국과 유엔의 관계는 특히 깊다. 1948년 12월12일 유엔 총회 결의 제195호는 "유엔 감시 아래 실시된 남한 지역 선거로 구성된 정부(대한민국 정부)는 한반도 내 유일한 합법정부"라고 인정했다. 이는 대한민국이 국제사회로부터 독립국으로 승인받는 계기가 됐다.


1950년 한국전쟁 발발 후 유엔 안보리는 즉각 결의를 채택하고 회원국들이 참여한 유엔군을 파견했다. 전쟁 이후에는 유엔한국재건단(UNKRA) 등을 통해 복구사업과 인도적 지원이 이어졌다.

대한민국은 1991년 9월17일 북한과 함께 유엔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이후 평화유지활동(PKO) 파견과 개발원조 등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역할로 범위를 넓혀왔다.

오늘날 유엔은 여전히 전쟁, 기후, 인권, 빈곤 등 지구적 과제의 중심에 서 있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유엔의 도움으로 재건을 시작했던 대한민국이 이제는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회원국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은 유엔의 설립 취지가 여전히 유효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