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둔 부산 북구의 정치 지형이 '전재수 변수'로 술렁이고 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부산시장 선거에 도전할 경우 그의 지역구인 북구갑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북구청장 선거와 동시에 치러지게 된다. 지난 총선에서 부산 18개 선거구 중 유일하게 더불어민주당에 자리를 내준 국민의힘에게는 '북구 탈환'이라는 지상과제가 주어졌다. 북구청장 후보 공천 역시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맞물려 한층 더 복잡해질 전망이다.
국회의원-구청장 '동반 승리' 노리는 국민의힘
국민의힘에게 북구는 반드시 되찾아야 할 '아픈 손가락'이다. 지난 4월 총선에서 부산 지역을 싹쓸이하는 압승을 거두고도 유일하게 북구갑에서 서병수 위원장이 전재수 의원에게 패배하며 자존심을 구겼다. 만약 전 장관의 출마로 보궐선거가 현실화된다면 국민의힘은 중앙당 차원의 총력 지원을 통해 이곳 탈환에 사활을 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북구청장 후보 결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은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구청장 선거의 '동반 승리'를 위해 지난 총선에서 전 장관에게 패배한 서병수 위원장을 다시 한번 등판시킬 가능성이 높다. 전재수라는 강력한 경쟁자가 사라진 상황에서 서 위원장의 중량감이라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계산이다.
이러한 '서병수 재등판' 시나리오는 북구청장 후보 공천의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다. 국민의힘은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구청장 선거의 '동반 승리'를 위해 서병수 위원장과 최고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를 구청장 후보로 낙점할 가능성이 있다. 현직인 오태원 북구청장의 사법 리스크와 손상용 전 부산시의회 부의장 등 기존 후보군에 대한 평가도 이러한 전략적 구도 아래에서 다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수성'과 '확장' 기로에 선 민주당
더불어민주당은 전재수 장관의 결단에 따라 선거 전략이 완전히 달라진다. 전 장관이 부산시장에 출마한다면 민주당은 북구청장직 '탈환'과 국회의원직 '수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정명희 전 북구청장의 재도전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가운데 북구갑 지역 노기섭 전 부산시의원, 문영남 전 북구의원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들은 현역 국회의원 전재수 장관의 지역구 인사들로 공천과정에서 전 장관의 의중이 공천 과정에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회의원 보궐선거라는 변수가 생기면서 내부 교통정리가 불가피해졌다. 구청장 출마를 준비하던 일부 정치 신인이나 잠재적 후보군이 국회의원 보궐선거로 눈을 돌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민주당은 부산 유일의 현역의원 지역구를 지켜내고 구청장직까지 다시 가져오기 위해 후보 간 역할 분담과 전략적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됐다. 전재수라는 강력한 구심점이 빠진 상태에서 치러질 두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최적의 대진표를 짜는 것이 민주당의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 이처럼 내년 북구청장 선거는 전 장관의 부산시장 출마 여부에 따라 국회의원 보궐선거와 연동되는 '확전' 양상을 띠면서 여야 모두에게 총력전이 불가피한 최대 승부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