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이 시공사 선정 과정에 난항을 겪고 있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에서 바라본 한강변 아파트 단지./사진=뉴스1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으로 꼽히는 서울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에서 시공사 선정 절차가 지연되고 있다. 강북의 반포로 불릴 만큼 사업성이 높은 성수2지구는 시공사 입찰에 단 한 개 업체도 응찰하지 않아 유찰됐다. 성수1·3·4지구도 조합 내부 갈등과 절차 지연 등 사유로 사업 추진 동력이 약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28일 마감된 성수2지구 시공사 선정 입찰에 건설업체가 참여하지 않았다. 성수2지구는 지하 5층~최고 65층의 2609가구(총공사비 약 1조8000억원) 규모 사업으로 한강 조망권을 갖췄다.


그러나 지난달 조합장이 포스코이앤씨 OS(외주 홍보 직원)를 접촉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국토교통부 '정비사업 계약업무 처리기준'과 서울시의 '공공지원 정비사업 시공자 선정기준'에 따르면 입찰 공고 후 건설업체와 홍보대행사는 조합원과 개별 접촉, 금품 제공이 금지된다. 위반 시 입찰 무효 처리될 수 있다.

이에 조합 내 불신이 확산됐고 입찰에 관심을 보였던 삼성물산·DL이앤씨·포스코이앤씨 등 대형사들이 응찰하지 않았다. 조합장은 오는 31일 사퇴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성수2지구 조합 관계자는 "현재는 드릴 말씀이 없다. 상황을 지켜봐 달라"며 말을 아꼈다.

조합은 새 집행부를 구성해 내년 초 정기총회 이후 시공사 선정 절차를 다시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성수2지구의 착공 시점은 최소 1년 이상 지연될 수 있다.

조합 갈등·행정 지연으로 동력 약화

사진은 서울 성동구 성수 전략정비구역 일대 모습. /사진=뉴시스

성수1지구도 시공사 입찰 조건을 둘러싼 조합원 간 갈등으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 해당 사업에는 현대건설·GS건설·HDC현대산업개발 등이 관심을 보여 왔다. 하지만 시공사 입찰 지침 기준에 대한 반발로 현장설명회에 GS건설만 참여했다. 조합은 기존 입찰 공고를 취소하고 재입찰 공고를 냈다.


성수3지구는 지난 8월 설계사 선정 총회를 개최했지만 관할 구청의 승인이 무산됐다. 조합은 지난달 해안건축을 설계사로 선정했지만 성동구청이 정비계획 위반을 이유로 실격 처리 명령을 내렸다. 두 회사가 제출한 안이 고시 기준(최고 250m, 주동 1~2개)을 초과했기 때문이다. 이에 조합은 설계사 선정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최고 77층 개발을 추진중인 성수4지구는 인근 존치지구인 성수두산위브(총 157가구·2006년 입주), 성수동 대명루첸(총 114가구·2009년 입주) 주민들과 갈등을 빚고 있다. 지난 24일 존치지구 주민 수십 명은 성동구청 앞에서 항의 집회를 열고 "초고층 단지로 일조·조망·교통권이 침해된다"며 "두산위브·대명루첸을 재개발 구역에 포함해달라"고 주장했다.

2009년 해당 구역이 지정된 당시 존치지구 주민들은 아파트 준공 초기라는 이유로 재개발에 반대했다. 하지만 이후 사업 진행에 20년 가까이 흘렀고 최근 들어 재산가치 하락과 생활권 침해를 우려해 일부는 입장을 바꾼 것이다.

성수전략정비구역은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일대 4개 구역(1~4지구)에 총 1만가구 이상을 공급하는 강북 최대 규모 재개발이다. 사업성이 높아 기대를 모았지만 각 지구마다 여러 문제가 발생하며 시공사 선정 일정은 내년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공사비 상승과 금융비용 증가로 이어져 조합원들의 부담을 키울 수 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성수1·2구역은 시공사 선정 무산으로 일정 지연이 불가피하다"며 "최근 공사비가 3.3㎡(평)당 950만~1100만원 수준으로 급등하면서 조합원의 추가 분담금 논의가 핵심 쟁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