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운데)가 10일 이천 지역에서 개최한 '반도체 소부장 기업인 현장 감담회'에서 개발계획을 밝히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0일 이천 지역의 반도체 산업시설 확충과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국토교통부가 수도권 자연보전권역 연접개발 지침을 18년 만에 개정하면서 이천 지역에 대규모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시설용지 공급의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김 지사는 이날 민생경제 현장투어 15번째 방문지로 이천시를 찾아 유진테크에서 반도체 소부장 기업인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김 지사는 "도의 노력에 힘입어 국토부가 지침을 18년 만에 개정했다"며 "산단 사업 마무리를 열심히 하고 있는데,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천시는 그동안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1983년 이후 일정 규모(최대 6만㎡) 이상의 공업용지 조성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지난 1월 국토부가 '자연보전권역 내 연접개발 적용지침'을 개정하면서 최대 6만㎡ 부지를 여러 개 묶어 클러스터 형태로 30만㎡까지 산업단지 조성이 가능하게 됐다.

경기도는 지침 개정의 첫 사례로 내년 착공 예정인 여주 가남 일반산단 클러스터 조성 사례를 토대로 이천시에도 산업단지 클러스터 조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여주 가남 산단 조성안은 지난 6월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통과했으며, 11월 중 조성계획 심의를 거쳐 내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 지사는 지난해 2월 2040년까지 34조원 규모의 민관 협력·투자로 지역 경제 성장과 균형 발전을 추진하는 '경기동부대개발' 추진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을 고객사로 둔 반도체 소부장 기업 관계자들은 지침 개정을 환영하며 이천 지역이 반도체 첨단산업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김 지사는 "판교 등 산업클러스터처럼 주거지와 교통, 인프라 등 동부에 대해 갖고 있는 청사진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공급자 위주가 아니라 수요자 측면에서, 기업입장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