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례 자유한국당 의원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2.27 전당대회 최고위원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김순례 자유한국당 의원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2.27 전당대회 최고위원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5·18 민주화운동 왜곡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인 김순례 자유한국당 의원이 11일 “이유를 불문하고 제 발언으로 인해 상처받으신 국민 여러분과 5·18 유공자 및 유족 여러분께 사과 말씀을 올린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오후 공식 입장문을 통해 “5·18 민주화운동은 1993년 김영삼정부가 들어서면서 국가 차원의 재평가가 이뤄졌으며 그 역사적 상징성에 대해서는 어떤 이견도 있을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토론회에서 제기된 북한군 개입설을 비롯한 각종 5·18 관련 비하 발언들은 한국당의 공식 입장이 아닐뿐더러 본 의원 역시 동의하지 않는다”며 “당시 주최 측이 낸 의견들과 내빈으로 참석한 제 발언이 섞여 와전된 부분이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제가 이야기한 부분은 오로지 5·18 유공자 선정 시 허위로 선정된 부분이 있다면 바로 잡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선정기준을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만들어 ‘허위유공자’를 철저히 걸러내는 게 유공자들의 명예를 지키는 길이라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전달 과정에서 잘못된 표현으로 물의를 일으킨 부분에 대해선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지난 8일 김진태·이종명 한국당 의원 주최로 열린 ‘5·18 진상 규명 대국민 공청회’에서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이 한강의 기적으로 일궈낸 자유 대한민국의 역사에 종북 좌파들이 판을 치면서 5·18 유공자라는 괴물 집단을 만들어내 우리 세금을 축내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해당 발언이 논란이 되자 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은 김 의원과 김진태·이종명 의원을 윤리위에 제소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