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서울시내 한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뉴시스 DB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이를 피한 역세권 막차 단지가 반사이익을 받을지 주목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로 공급에 차질이 생기고 전매 기간이 길어지면 희소성이 높은 역세권 아파트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2일 수도권 투기과열지구 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 주택의 전매제한기간을 현재 3~4년에서 인근 주택의 시세 대비 분양가 수준을 고려해 5~10년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민간택지 공동주택에 대한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 지정 요건 강화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오는 10월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면 주택 공급감소가 우려된다. 실제 2007년 분양가상한제 시행 후 그해 서울에서만 5만가구가 인허가를 받았으나 2008년 2만1900가구로 절반 이상 줄었다. 2009년에도 2만6600가구가 인허가를 받아 절반 수준에 그쳤다.

여기에 전매제한 강화로 주택을 사고파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게 되면 역세권 같은 인기 새 아파트는 자취를 감출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는 전매제한에 주택을 팔지 못하니 사고 싶어도 사지 못하는 사람들이 생길수도 있다”며 “전매제한이 보다 자유로운 아파트에 희소성이 높아지면 가격도 오르게 돼 새 아파트 청약을 받으려는 수요자들이 늘어 경쟁이 치열하고 가치도 오를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