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와 조선업계의 조선용 후판 가격 협상이 주목된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철강업계와 조선업계의 조선용 후판 가격 협상이 주목된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철강업계와 조선업계가 조선용 후판 가격을 두고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다. 두 업계가 상생 협력에 나서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조선용 후판 가격 협상 종료 시기가 주목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철강업계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상반기 조선용 후판 가격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제철용 원료탄과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은 조선용 후판 가격의 60%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 원자재가격정보를 보면 후판 생산에 필요한 제철용 원료탄은 올해 1분기 300달러 이상을 유지했다. 지난해 말 250달러 안팎과 비교했을 때 20% 이상 수준이다. 철광석 가격도 지난해 말 110달러 안팎에서 올해 1분기 125달러 안팎으로 15% 정도 상승했다. 철강사들이 수익성을 챙기기 위해서는 원자재 가격을 판가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조선업계는 조선용 후판 가격 인상 시 실적 개선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한다. 조선용 후판 가격은 선박 원가의 약 20% 정도다. 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주요 조선사들이 올해 본격적인 실적 개선을 이루기 위해서는 조선용 후판 가격 안정화가 중요하다는 시각이 많다.

일각에서는 두 업계가 조선용 후판 가격을 두고 힘겨루기를 이어가고 있지만 조만간 협상이 마무리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최근 철강업계와 조선업계가 상생 협약식을 체결한 영향이다. 한국철강협회와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지난 28일 협약식을 통해 ▲상생 협력 및 동반발전을 위한 반기별 실무위원회 개최 ▲정보공유 및 협력방안 모색을 위한 정기적 공동세미나 개최 ▲상생 협력 연구용역 등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상생협력에 대한 정부 관심이 큰 것도 조선용 후판 가격 협상이 적정 수준에서 합의될 것이란 주장에 힘을 싣는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세계 경제 불확실성, 친환경 전환 등 산업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당장의 이해득실에 흔들릴 수 있음에도 두 업계가 협력하기로 한 것을 고무적으로 생각한다"며 "정부도 두 산업의 발전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