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한국전력공사 협력사에서 직원이 1월 전기요금 청구서를 정리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김금보 기자
서울 시내 한 한국전력공사 협력사에서 직원이 1월 전기요금 청구서를 정리하고 있다. / 사진=뉴시스 김금보 기자

정부가 오늘(31일) 2분기 전기·가스요금 인상 여부를 발표한다. 에너지 공기업 정상화를 위해 인상이 필요하지만 물가상승에 따른 가계부담 증가 우려로 정부의 고민이 큰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2분기 전기·가스요금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기요금은 당초 지난 21일 발표될 예정이었지만 에너지 당국과 물가 당국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일정이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6일 한전은 산업부에 2분기 연료비 조정단가 내역을 산정해 제출했다. 전기요금은 ▲기본요금 ▲연료비 조정 요금 ▲기후환경요금 ▲기준연료비 등으로 구성되는데 연료비 조정단가는 5원으로 동결하기로 했다. 기후환경요금도 사실상 동결된다.

관건은 기준연료비 인상 여부다. 기획재정부는 서민가계 부담을 고려해 요금 인상 속도 조절을 주장하는 반면 산업부는 에너지 공기업 정상화를 위해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진다.

한전은 지난해 32조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으며 올해도 10조원대의 적자를 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부는 한전의 적자 해소를 위해 지난 1분기에도 전기요금을 ㎾h(키로와트시)당 13.1원 올렸다. 산업부는 오는 2026년까지 누적적자 해소를 위해 올해 전기요금을 ㎾h 당 51.6원 인상이 필요하다고 국회에 보고한 바 있어 남은 2~4분기에 비슷한 규모의 인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공공요금 인상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주문한 바 있어 관계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가스요금 인상안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정부는 올해 1분기 가스요금을 동결하면서 2분기부터는 인상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산업부는 8조6000억원에 달하는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 문제 해결을 위해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가스요금을 인상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앞서 가스공사는 2023년도 가스요금 인상분을 MJ당 8.4원(분기당 2.1원) 올리거나 10.4원(분기당 2.6원) 인상하는 방안을 국회에 보고했으며 지난 17일 산업부에 도시가스 원료비 조정안을 제출했다. 업계에서는 봄철로 접어들어 난방 수요가 줄어드는 만큼 가스요금은 인상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