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머니투데이 DB |
국내 카드사들이 국제브랜드카드인 비자·마스터카드 등에 로열티 명목의 수수료로 매년 2000억원 가량을 지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카드사들은 해외 결제망 사용과 무관한 국내용 결제에서도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사용분담금(수수료)을 지불한 것으로 드러났다.
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영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카드사들이 국제브랜드카드에 지급한 총 수수료는 2010년 1395억원에서 2011년 1644억원, 2012년 1818억, 2013년 2041 등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비자·마스터카드 등과 제휴를 맺은 카드사들은 국내 신용판매에 대해 0.04%의 수수료를 부담한다. 국외의 경우 0.2%(비자), 0.204%(마스타)의 수수료를 내고 있다. 이밖에 카드사 회원들이 국내 현금서비스를 이용할 때도 마스터카드는 0.01%의 수수료를 지급받는다.
또 비자·마스터카드는 각 카드사의 골드회원과 플래티넘 회원에 대해 매년 1매당 일정 금액의 카드발급 유지 수수료를 지급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수수료와 무관하게 회원들은 모든 국외거래시(신용카드, 현금서비스) 금액의 1%, 현금서비스 거래 건당 1.25달러를 지급해야 한다.
이같은 비자·마스터카드의 수수료 지급체계와 관련해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해외 결제망 사용과 무관한 국내 사용으로 거둬들이는 수수료가 해외 사용으로 내는 수수료보다 4배 이상 높은 것은 잘못된 구조라는 것. 지난 2013년 해외사용 수수료는 295억원인데 반해 국내사용 수수료는 1246억원으로 4.2배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국내에서 국내 망을 이용해 결제하는데 매년 1000억원 이상의 수수료를 내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금융소비자 보호와 불합리한 계약 관계 개선을 위해 금융당국이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수수료 체계 개편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