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블랙박스' /사진=JTBC뉴스 캡처
'국정원 블랙박스' /사진=JTBC뉴스 캡처

'국정원 블랙박스'
국가정보원 해킹프로그램을 담당하다 지난달 18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국정원 직원 임 모(45)씨의 수색 현장이 찍힌 구급차 블랙박스 영상 중 일부가 삭제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히 국정원 직원이 경찰보다 수색상황에 먼저 도착한 정황이 포착되며 현장을 훼손했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남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0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장에 출동한 구급차) 블랙박스를 보면 오후 12시30분부터 오후 12시58분 사이 28분간 영상이 사라진다"고 밝혔다. 이 시간은 국정원 직원 임씨가 발견된 시간으로 2시간 넘게 찍힌 영상 중 유일하게 영상이 없는 시간이다.


박 의원은 또 "임씨의 자살사건 현장에 국정원 직원이 경찰보다 50여분 빨리 도착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현장에 출동한 소방대원은 오전 11시55분쯤 임씨의 주검을 발견하고 8분 뒤인 오후 12시3분에 국정원 직원이 현장에 도착해 시신상태를 확인했지만 경찰은 47분 늦은 12시50분에 현장에 닿았다"고 설명했다.

또 중앙소방안전본부의 석연찮은 해명도 의혹을 키우고 있다. 조송래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장은 "구급차 시동을 껐기 때문에 영상이 찍히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꺼진 시점인 12시30분 영상과 12시58분 다시 켜진 영상 속 장소가 달라 28분에 대한 의혹이 커지고 있다. 또 앞서 국회 안전행정위 현안보고에서 이번 국정원 직원 임씨 수색과정에서 국정원 지시를 받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공개된 블랙박스 영상에는 국정원 직원과 소방대원이 여러차례 연락을 취한 정황이 드러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