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11개 대기업에 구조조정 추진을 권유할 계획이다. 또 8개의 기업에 대해서는 퇴출을 유도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은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 328개에 대해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진행한 결과 모두 19개의 기업이 C·D등급을 받았다고 30일 밝혔다.
수시 평가 결과에 따르면 워크아웃이 필요한 C등급의 기업은 11개사다. 금감원은 이들 기업에 신속한 금융지원과 자산 매각 및 재무구조개선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또 D등급을 받은 8개 회사를 대상으로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등을 통한 신속한 정리를 유도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구조조정으로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비율이 13.99%에서 13.89%로 내려가는 등 건전성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는 모든 시중은행의 평균이다. C·D등급 회사의 여신이 산업은행이나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에 몰려 있는 만큼 이들은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금감원은 매년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진행해 구조조정 대상업체를 선정한다. 지난해는 C등급 11곳, D등급 23곳 등 모두 34개 업체로 조사됐다. 올해 정기 평가에서는 C등급 16곳, D등급 19곳 등 35개로 조사됐으며 수시 평가를 포함할 경우 모두 54개가 된다.
이번 수시 평가는 부실징후기업의 선제적 구조조정을 추진하기 위해 진행됐다.
![]() |
'기업 구조조정' /자료사진=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