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머니투데이 |
서울시가 청년의 주거안정을 위해 '역세권 2030 청년주택' 등 7개의 공공임대사업을 추진한다. 26일 서울시는 내년 청년주택을 올해 3468호보다 6배 확대해 약 2만350호 공급한다고 밝혔다. 1인 주거공간을 확대해 청년의 주거빈곤을 완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와 함께 목돈 마련이 어려운 취업준비생이나 사회초년생에게 대출이자 일부를 보전해주는 '청년주택 보증금' 제도도 추진한다. 내년 새롭게 추가되는 사업으로 약 8억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주거뿐만 아니라 청년들이 업무·회의·휴식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유공간 '무중력지대'도 확대한다. 서울 양재 연구개발(R&D), 서대문 등에 4개소를 확대한다. 청년층의 접근성을 고려할 방침이다.
박원순 시장은 "불평등과 양극화로 고통받는 청년들이 좌절하지 않고 사회로 진입할 수 있도록 청년안전망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