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만족도 순위.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직업만족도 순위에서 판사가 1위를 차지했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직업만족도 순위.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직업만족도 순위에서 판사가 1위를 차지했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직업만족도 순위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오늘(27일) 지난해 6월부터 10월까지 우리나라의 621개 직업종사자 1만91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직업만족도 순위'를 발표했다.
직업만족도 순위 결과 우리나라의 직장인들 가운데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직업은 판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항구, 해협 등 연해에서 선박의 입·출항로를 안내하는 '도선사'가 2위를 차지했으며 ▲3위 목사 ▲4위 대학교총장(학장) ▲5위 전기감리기술자 ▲6위 초등학교교장(교감) ▲7위 한의사 ▲8위 교수 ▲9위 원자력공학기술자 ▲10위 세무사로 나타났다.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발전 가능성 ▲급여만족도 ▲직업 지속성 ▲근무조건 ▲사회적 평판 ▲수행직무만족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현재 몸담은 직업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를 해당 직업 종사자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세부항목을 들여다보면, 발전 가능성 영역에서 물리학·지리학·연료전지 연구자, 초등학교 교장, 교수 등 '교육 및 연구 관련직'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나이가 들어도 계속 일할 수 있는가를 묻는 직업 지속성 영역에서는 시인, 목사, 채소작물재배원, 가구조립 및 검사원 등이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업무환경이 쾌적하고 시간적 여유가 있는 직종은 성우, 화가, 학예사, 작사가 등 문화예술 분야 직업이었다. 자신의 직업을 자녀에게 권유하고 싶다고 답한 종사자 비율이 높은 직업은 초등학교 교장(교감), 판사, 장학사 등이었다.

김한준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직업은 생계수단이자 우리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자아실현과도 직결되는 것"이라며 "직업을 선택할 때는 급여와 근무조건은 물론 사회적 평판 등 다양한 영역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