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잡코리아 |
이에 따르면 이번 설문에 참여한 중소기업 68.7%가 현재 사내에 ‘비정규직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종별로는 ▲금융업(90.9%) ▲전기.전자업(86.3%) ▲IT.정보통신업(85.5%) ▲교육.서비스업(79.1%) ▲식음료.외식업(75.4%) ▲유통.무역업(62.3%) 등의 순이었다.
그리고 비정규직 채용 계획에 대해서는 60.2%가 ‘채용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는데 이는 기존 비정규직 인력 근무 기업 비중 68.7% 보다 8.5% 정도 줄어든 수준이다.
비정규직을 채용하는 이유는 ▲’비용부담이 크지 않아서’란 응답이 26.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업무역량 검증 후 정규직으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도 25.9%로 많았다. 이 외에 ▲해당 직무가 단순하기 때문 21.6% ▲인력 관리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 14.8% ▲비용 대비 노동성이 좋기 때문 9.5% 등의 순이었다.
향후 비정규직 폐지에 대해 찬성하는 기업은 10개사 중 2개사 정도에 그쳤다.
잡코리아 조사 결과 20.9% 기업만이 ‘비정규직이 폐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67.9%는 ▲’비정규직을 유지하되,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나머지 11.2%는 기존대로 유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정규직 전환이 어려운 이유로는(*복수응답) ▲높아지는 인건비 부담이 응답률 71.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복리후생 등 추가 비용 발생(52.8%) ▲단순업무로 인한 정규직 전환 불필요(30.0%) ▲비정규직 인력의 역량 미달(11.6%)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비정규직 근무자들이 정규직으로 전환 시 기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으로는(*복수응답) ▲직원들의 애사심 고취가 응답률 61.3%로 가장 높았으며, 이 외에 ▲노사간의 신뢰 구축(40.4%) ▲향후 매출 및 성과 증대(30.3%) ▲즐거운 회사 분위기 조성(20.3%) 등의 의견이 있었다.
한편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최저임금 인상이 향후 비정규직 채용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비정규직 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하는 인사담당자가 47.7%로 가장 많았으며, ‘비정규직 채용이 오히려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인담자도 31.6%로 나타났다. 나머지 20.7%는 ‘최저임금 인상이 비정규직 채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