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맘스터치 전국 11개 지역 서비스지회 지사장들은 12일 공동 호소문을 내고 “정현식 회장의 급작스런 사모펀드 매각 결정은 가맹본사와의 신의, 프랜차이즈사업을 위한 가맹점들의 그간 노력을 뿌리째 흔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익 극대화가 속성인 사모펀드 운용사가 선임하는 경영진과 가맹점과의 상생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지 상상하기 힘들다”며 “당장 비용을 줄이는 한편 추후 매각을 위해 기업가치 극대화에만 몰두할 게 뻔하다”고 우려했다.
그간 지역 서비스지회는 해마로푸드서비스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고 본사 대행으로 가맹점 모집과 가맹 계약 등 교육·관리를 해왔다. 지사장들은 평균 10년 이상 지역관할 880여매장, 전국 매장수 대비 70%의 매장을 관리하며 맘스터치 프랜차이즈 사업의 한 축을 담당해왔다.
지사장들은 매각과 관련해 지난달 정현식 회장과 면담을 하기로 했으나 이마저도 파기됐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11월25일 정 회장은 본인이 직접 지정한 전국 지사장들과의 면담을 일방적으로 파기한뒤 지금까지 어떤 연락조차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맹사업주들 간의 자발적 협의 움직임을 시대 흐름에 맞게 공론화하고 가맹본사 수퍼바이저와 같은 일을 하는 지사 소속 60여명 직원에 대한 고용 안정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해마로푸드서비스는 공식입장을 내고 갈등설을 일축했다. 회사 측은 “직원들의 고용과 처우 보장을 약속드린다”며 “직원들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업무 환경 조성은 물론 변화와 혁신에 있어 직원들의 협조와 양해를 구하며 협력업체들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내부 갈등이 회사 운영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해마로푸드서비스는 “일련의 기사와는 달리 해마로푸드서비스와 맘스터치는 이전과 다름 없이 정상 운영되고 있다”며 “향후에도 가맹점 운영 등에 일말의 피해가 없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정 회장은 지난달 5일 보유지분 5636만여주를 사모펀드 운영사 케이엘앤파트너스에 팔기로 하고 양해각서를 맺었다. 해마로푸드서비스지회는 이 결정에 반발해 지난 3일 창립총회를 열고 노동조합 설립을 공식화했다. 이후 케이엘앤파트너스가 대응 차원에서 총괄부사장을 내려보내자 노조는 사실상 탄압이라며 반발을 이어가고 있다.
한편 정 회장은 오는 16일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장 취임식을 앞두고 있다. 일각에서는 맘스터치가 이미 사모펀드에 매각이 예정돼 있는 상황에서 정 회장이 이 사실을 밝히지 않은 채 협회장 선거에 출마해 선거권자들을 기망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프랜차이즈협회는 “투표를 위해 정 회장이 매각 사실을 협회에 미리 알려줬다면 공시 위반 행위가 된다.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알리지 못한 것”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