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취업한파로 인해 취준생 과반이 올해 희망연봉을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뉴시스
코로나19로 인한 취업한파로 인해 취준생 과반이 올해 희망연봉을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채용 축소 등 직격탄을 맞은 취준생들이 올해 희망연봉을 낮춘 것으로 조사됐다.
8일 사람인이 취준생 2045명을 대상으로 ‘코로나로 희망연봉을 낮췄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56.8%가 희망연봉을 ‘낮췄다’고 답했다.

이들의 올해 희망연봉은 평균 3039만원으로 집계됐으며 눈높이를 낮춘 금액은 평균 443만원이었다. 코로나 상황이 아니라면 평균 3482만원 수준의 연봉 희망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눈높이를 낮췄다는 것.


특히 이들 중 55.6%는 이미 희망연봉을 낮췄음에도 불구하고 취업을 위해 희망연봉을 더 낮출 수 있다고 답했다.

아직 희망연봉을 낮추지 않은 응답자(884명)들 중 60.9%도 올해 취업을 위해 희망연봉을 낮출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구직자들은 희망하는 연봉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할까. 응답자 3명 중 1명(33.5%)은 희망하는 연봉조차 받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코로나19로 인해 기업 경영 여건이 어려워서’(48.5%,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연봉이 높은 곳에 들어가기 어려울 것 같아서’(44%), ‘노력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어서’(34.8%), ‘경기 불황이 지속될 것 같아서’(29.2%), ‘국내 기업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어서’(10.2%) 등의 이유를 들었다.

구직자들은 첫 월급을 타면 가장 하고 싶은 것으로 ‘부모님 선물/용돈 드리기’(24.8%)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적금통장 개설’(24.6%)이 바로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재테크 종잣돈으로 활용’(17.7%), ‘학자금 대출 등 갚기’(12.3%), ‘가족/지인과 외식하기’(7.1%)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