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기업의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6.7% 줄었다. /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100대 기업의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6.7% 줄었다. /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매출 상위 100대 기업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2019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종별 영업이익 증감률 격차도 뚜렷해졌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매출 상위 100대 기업의 2020년 총 매출액은 984조1000억원으로 2019년(1054조8000억원) 대비 6.7% 감소했고 2018년(1092조9000억원) 대비로는 10.0% 감소했다.

영업이익 합계는 47조2000억원으로 전년(48조5000억원) 대비 2.5% 감소했고 2018년(104조6000억원) 대비로는 54.9%나 줄었다.


영종별 격차도 커졌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운송업(697.5%)과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정유업(-205.0%) 간 영업이익 증감률 격차는 902.5%포인트로 2019년 최상위·최하위업종 간 격차(508.2%포인트)보다 확대됐다.

2020년 증가업종군의 평균 영업이익 증가율과 감소업종군의 평균 영업이익 감소율 간의 격차는 214.9%포인트로 2019년 124.4%포인트보다 크게 늘어났다.

100대 기업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감소한 가운데 임직원 급여 총액은 78조4000억원으로 2019년 대비 3.0% 증가했고 연구개발비는 38조1000억원으로 2019년 대비 4.0%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임직원 급여는 영업이익이 증가한 기업(40개)은 9.0%(삼성전자를 제외한 39개 기업 4.2%), 영업이익이 감소한 기업(60개)은 -3.5%로 나타났다.

이는 매출 상위 기업들은 대체로 실적에 따른 성과보상 시스템이 갖춰져 있고 실적이 좋았던 기업에서는 성과급이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이 감소한 기업은 성과급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에 따른 영업활동 제한으로 광고선전비와 판매촉진비는 8.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국내·외 출장 제한 등의 영향으로 여비교통비는 2019년의 절반 수준(-50.4%)으로 감소했다.

경총 하상우 경제조사본부장은 “2020년 매출 1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은 2018년에 비해 크게 악화됐던 2019년에 비해서도 다소 부진하게 나타났고 특히 업종간 실적 격차는 더욱 뚜렷해졌다”며 ”업종별 경기 사이클과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실적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한 부분이 있지만 실적이 나쁜 업종의 업황이 장기간 개선되지 않을 경우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