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이 21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 코로나19 방역 조치 현황을 살펴보고 센터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여성가족부 제공) 2021.7.21/뉴스1
김경선 여성가족부 차관이 21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 코로나19 방역 조치 현황을 살펴보고 센터 직원들을 격려하고 있다. (여성가족부 제공) 2021.7.21/뉴스1

(서울=뉴스1) 김진희 기자 = 여성가족부(장관 정영애)는 13일 가족서비스 제공기관인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명칭을 가족센터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지역 내 모든 가족이 이용할 수 있는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함에도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라는 명칭 때문에 특정 가족만 이용할 수 있는 곳으로 잘못 알려지는 경우도 있어서다.

여가부는 지난 8∼9월 센터 종사자,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 현장 의견수렴을 거쳐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명칭을 가족센터로 변경하기로 했다.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건강가정기본법' 제35조에 따른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2조에 따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기능을 통합해 운영하는 곳이다. 가족형태, 가족관계 특성 등을 고려한 가족교육, 상담과 다문화가족을 위한 한국어교육, 자녀 방문교육 등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아이돌봄서비스,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등을 통해 지역사회 돌봄 사각지대 해소에도 기여를 하고 있다. 내년부터는 1인가구 사회관계망 지원 사업과 다문화가족 학령기 자녀의 학습과 진로 지원 사업을 신규로 실시한다.

여가부는 센터에 국공립어린이집, 공동육아나눔터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시설을 함께 설치해 통합적인 가족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족센터 건립(생활SOC복합화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센터 명칭이 바뀌면서 다양한 가족의 서비스 이용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며 "가족센터가 지역 가족서비스의 중추적 기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능을 더욱 강화하고, 지역중심의 보편적 가족서비스 제공을 위한 가족센터 건립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