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창 크는 시기에 아이가 또래에 비해 키, 몸무게에 있어 성장이 뒤쳐진다면 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사진=이미지투데이 |
아이는 태어나서 만 2세까지 급성장기를 맞아 가장 빠르게 자란다. 이후 1년에 5cm 이상 꾸준히 자란다. 여자 만 10세 전후, 남자 만 12세 전후에 급성장기인 사춘기를 맞으며 다시 한번 크게 자라며 사춘기 이후에는 성장이 급격히 느려지다가 16~18세 이후에는 최종 키가 완성된다.
만약 장 기간 동안 1년에 4~5cm 이상 꾸준히 크고 있지 않거나 아이의 키가 같은 연령 평균과 큰 차이가 난다면 병적 요인이나 성장 부진 요인을 의심하고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아이의 최종 키가 크게 잘 자라기 위해서는 본격적인 급성장기에 들어서는 사춘기 이전에 최대한 키를 크게 키워야 한다.
성장에 있어서 가장 기본은 잘 먹는 것이다. 골고루 먹는 것이 가장 좋지만 뼈와 근육 생성에 필요한 철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 철분의 하루 권장량은 4~8세는 10mg, 8세~사춘기는 10~15mg이다. 철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붉은 육류, 계란 노른자, 견과류, 시금치가 있다. 단백질, 칼슘이 풍부한 우유는 하루에 400ml 섭취를 권장한다.
성장에 있어서 가장 기본은 잘 먹는 것이다. 골고루 먹는 것이 가장 좋지만 뼈와 근육 생성에 필요한 철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 철분의 하루 권장량은 4~8세는 10mg, 8세~사춘기는 10~15mg이다. 철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붉은 육류, 계란 노른자, 견과류, 시금치가 있다. 단백질, 칼슘이 풍부한 우유는 하루에 400ml 섭취를 권장한다.
평소 생활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성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 사용이 늘어나면서 초등학생의 거북목 증상이 증가하는 추세다. 거북목 증상을 방치하게 되면 목과 어깨가 움츠러들어 올바른 성장을 방해한다. 의자에 앉을 때는 엉덩이를 뒤로 잘 빼고 고개를 앞으로 잘 당겨 앉아야 한다. 쉬는 시간 틈틈이 목과 어깨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