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교육청이 5대 영역에서 66개 사업을 통해 직선 4기 이정선 교육감의 공약 사업을 본격 실천해 나간다.
6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이 교육감의 공약사업 실천계획을 확정해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혁신적 포용교육 실현'을 위해 5대 영역 66개 공약사업과 101개의 세부과제를 담았다.
특히 △다양성을 담아 모든 아이들의 진정한 실력 향상 △단 한 명의 아이도 소외받지 않는 공정한 교육적 혜택 제공 △AI(인공지능) 중점도시 광주에 걸맞은 AI교육을 통해 아이들이 미래사회를 주도하는 인재로 성장하도록 지원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5대 영역 66개 공약사업에 4년간 총 9815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영역별로는 △모두의 꿈이 실현되는 '다양성교육' 13개 공약사업에 2338억원(23.82%) △삶의 힘을 키우는 '책임교육' 13개 공약사업에 237억원(2.42%) △희망사다리가 되는 '공정교육' 11개 공약사업에 1882억원(19.18%) △상상이 현실이 되는 '미래교육' 15개 공약사업에 4535억원(46.2%) △다함께 주인되는 '상생교육' 14개 공약사업에 822억원(8.38%)을 배정했다.
다양성 교육 13개 사업은 △학생 눈높이 공부방 '스터디 카페형 365-스터디룸' 설치 △초등학교 기초학력 전담교사 배치 확대 △고등학교 맞춤형 방과후 수업을 실시 등이다.
책임교육 13개 사업은 △진로·진학 내비게이션 '진로진학과' 신설 △대입 전문 디렉터 양성 △미래 먹거리 산업에 맞는 직업계고 학과 재구조화 △공립대안학교 설립 추진 △다문화교육 '다가치센터'(광주송정다가치문화도서관) 설치 △특수학교 현대화 추진 등이 있다.
공정교육 11개 사업은 △학생 교육비 '꿈드리미' 지급 △희망하는 모든 학생 야간 돌봄 시행 △학생 글로벌 리더 세계 한 바퀴 프로그램 운영 등이다.
미래교육 15개 사업으로는 △교육용 태블릿 PC 등 무상 보급 △초등학교 코딩교육 주 1시간 실시 △중학교 AI 전담교사 배치 △미래산업 기반 마이스터고 설립 △기후 위기에 대응한 생태환경 교육 실시 등이 있다.
상생교육 14개 사업을 통해 학생·학부모·시민·지자체·대학 등 광주 교육 협력 생태계를 조성한다.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7월부터 공약실천계획 초안을 마련, 광주시민 50명을 대상으로 공약평가시민배심원단을 구성해 의견을 수렴했다.
이 교육감은 "다양한 실력이 미래가 되는 광주교육을 이룩하고자 새로운 비전을 공약에 담았으며 시민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왔다"면서 "이번 실천계획 로드맵에 따라 공약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달라진 광주교육의 미래를 체감할 수 있도록 꾸준히 진행 상황을 점검해 매니페스토를 실천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