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게재 순서
①차세대 먹거리 바이오헬스케어… 정부가 나선다
②의료계 반발 이겨낼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핵심은
③"바이오헬스케어, 정부 지원받아도 힘들다"… 이유 들어봤더니
①차세대 먹거리 바이오헬스케어… 정부가 나선다
②의료계 반발 이겨낼까… 디지털 헬스케어 '규제' 핵심은
③"바이오헬스케어, 정부 지원받아도 힘들다"… 이유 들어봤더니
정부가 연 매출 1조원을 웃도는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를 개발하고 의약품 수출액을 2배 증가시켜 제약·바이오 6대 강국으로 거듭나겠다는 청사진을 발표했다. 업계의 숙원 사업이자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국무총리 직속 제약바이오 혁신위원회 설치는 디지털·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로 명칭을 바꿔 밑그림을 다졌다. 하지만 업계에선 정부의 육성책을 환영하면서도 "쉽지 않다"는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국내 바이오 산업 규모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21년 국내 바이오 산업 생산액은 20조9983억원으로 전년 대비 22.1% 증가했다. 2017년(10조1457억원)과 비교하면 4년 새 107.0% 급증했다. 바이오 수출액 역시 꾸준히 증가했다. 2021년 수출액은 11조8598억원으로 전년 대비 18.0% 늘었다. 2020년(10조158억원) 처음 10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1년 만에 11조원을 돌파한 것이다. 산업이 성장하면서 고용 인력도 늘었다. 2021년 바이오 종사자는 5만5618명으로 6.4% 증가했다.
정부는 이 같은 바이오 산업의 꾸준한 성장세에 화답했다. 지난달 28일 정부는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지정하고 국가 핵심 전략 산업으로 키워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윤 대통령은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에) 역량을 모으고 지원할 생각"이라며 "과감한 혁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집중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 같은 바이오 육성안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낸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산업을 키우겠다는 정부의 의도는 분명하지만 바이오 산업계가 피부로 느낄만한 지원책이 없다"며 "일부 기업들도 기대하지 않는 눈치"라고 업계의 반응을 설명했다.
윤 정부가 발표한 ▲국가신약개발사업 2조2000억원 지원 ▲1조원 규모의 메가펀드 조성 추진 등은 직전 정부 사업과 비슷하다. 전 정부는 '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식'에서 ▲신약 연구개발 1조7000억원 지원 ▲매출 1조 규모 블록버스터 신약개발 지원 등을 발표했다. 기존 사업과 비슷한 맥락인 윤 정부의 지원책에 대해 바이오 기업들이 큰 기대를 걸지 않은 이유다.
업계에 따르면 개발단계 신약이 평균 7년 동안의 임상 시험을 거쳐 최종 허가까지 도달하는 비율은 7.9%(미국 식품의약국 기준)에 불과하다. 신약후보 물질 10개 중 채 1개도 성공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관련 개발 비용도 수천억을 넘어서는 만큼 바이오 기업들이 체감할 만한 과감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부회장은 "혁신 기술에 대한 인허가 절차가 빨라져야 한다"며 "이 경우 기업들은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결국 글로벌 경쟁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제약바이오 혁신위원회 설치를 요구하는 이유도 비슷한 맥락이다. 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통합 컨트롤타워를 설치해야 중장기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2010~2016년 허가된 210개 신약들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연구를 지원한 것이었다. NIH는 미국 보건복지부의 공공보건국의 산하 기관이지만 종합대학과 의과대학, 병원, 의학, 생명과학연구소 등과 함께 연구활동을 펼치거나 개발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바이오협회 관계자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와 기업이 실패와 사업성을 무릅쓰고 뛰어들 수 있는 정부의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