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주 69시간제' 논란을 고려해 국민 의견 수렴을 강조하며 직접 소통에 나섰다. 사진은 지난 21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하는 윤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주 69시간제' 논란을 고려해 국민 의견 수렴을 강조하며 직접 소통에 나섰다. 사진은 지난 21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하는 윤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제공

최근 한 주에 최대 69시간까지 근무할 수 있도록 한 근로시간 개편안에 정치권 안팎의 반발이 커지자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소통에 나섰다. 한·일 정상회담 이후 악화된 국내 여론에 '주 69시간제' 논란이 더해지자 지지율 하락을 우려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 2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복지·노동 현장 종사자 초청 오찬 행사에서 "선택권 행사·협상력이 취약한 노동 약자를 더 각별히 배려하는 조치를 함께 시행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때 윤 대통령의 발언을 메모하는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의 모습이 포착됐다.


윤 대통령이 근로시간 개편안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연일 강조했기에 이 장관의 메모 장면은 이목을 끌었다. 이 장관은 최근 '주 69시간제' 논란이 커지자 윤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MZ세대(2030세대) 등과 만나며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4일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해 "입법예고 기간 중 표출된 근로자들의 다양한 의견, 특히 MZ세대의 의견을 면밀히 청취해 법안 내용과 대국민 소통에 관해 보완할 점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그는 지난 21일에도 "노동시장 유연화 등 새로운 입법이 필요한 노동개혁 과제에 대해 국민의 의견을 충분히 청취하고 수집할 것"이라며 "MZ 근로자, 노조 미가입 근로자, 중소기업 근로자 등 노동 약자와 폭넓게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과 관련한 임금·휴가 등 근로 보상체계에 대해 근로자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특히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만연한 우리 사회에서 노동 약자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확실한 담보책을 강구할 것"이라며 "국민을 위한 제도를 만들고 보완책을 마련하는 데 서두르지 않고 충분히 숙의하겠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역시 지난 15일 "근로자들의 여론을 세밀하게 청취한 뒤 방향을 잡겠다"며 "윤 대통령의 노동시장 정책의 핵심은 MZ 근로자, 노조 미가입 근로자, 중소기업 근로자 등 노동 약자의 권익 보호에 있다"고 밝혔다. 근로시간 개편안에 대한 윤 대통령 지시는 대통령실 서면 브리핑이나 수석 등을 통해 연일 전해지고 있다.

이는 사실상 주 69시간제에 대한 MZ세대의 반발을 인정한 것으로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의 보완 검토 지시가 사실상 주69시간제를 철회·백지화하겠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대통령실은 근로시간 개편안을 둘러싼 반발이 큰 점을 고려해 남은 입법 예고 기간 동안 국민 의견을 수렴하는 데 매진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