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신 부모의 유산을 두고 갈등을 겪는 남매의 사연이 알려지자 누리꾼이 "딸에게 유산을 더 주는 게 맞다"고 입을 모았다. 딸이 30년 동안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아서다.
지난 17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30년 모시고 산 딸 vs 30년 제사 지낸 아들'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됐다. 글쓴이 A씨는 "실제 제 주변에서 있는 일"이라며 "증여·상속 분쟁으로 남매의 효도 배틀이 벌어졌다"고 운을 뗐다.
그는 "돌아가신 부모가 생전에 증여한 것에 차이가 큰 상황이라 협의 상속 중이라고 한다"며 "딸 내외가 홀어머니를 30년 동안 모셨고 아들 내외는 30년 동안 아버지 제사를 지냈다"고 밝혔다.
딸이 제사를 지내지 않은 이유에 대해 "대체로 부모님을 모신 쪽에서 제사를 지내지만 딸은 시댁 쪽 제사도 챙겨야 하기 때문에 친정 제사는 아들 쪽에서 맡아서 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딸은 홀어머니를 30년 동안 모셨다는 이유로, 아들은 30년 동안 아버지의 제사를 지냈다는 이유로 자신의 유산 지분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A씨는 "어머니와 딸이 같이 살다 보니 싸우는 일이 잦았고 아들 내외는 경조사 있을 때만 한 번씩 보니 사이가 좋았다고 한다"며 "어머니가 딸이랑 싸우고 나면 아들 쪽에 연락해 딸 흉을 보니까 아들 내외는 딸이 어머니를 제대로 모시지 않은 불효녀로 몰아가고 있다"고 부연했다.
딸 측은 "1년에 3번 있는 제사가 무슨 효도냐" "어쩌다 한 번씩 보면 싸울 일도 없다" "부모님을 모시고 사는 게 얼마나 힘든 건 줄 아느냐" 등의 반응을 보이며 맞서고 있다. 그러면서 A씨는 "제가 보기에는 어머니를 모신 딸의 기여도가 더 큰 것 같다"며 누리꾼의 생각을 물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대부분 "딸이 유산을 더 받아야 한다"며 딸의 편을 들었다. 이들은 "1년에 3번 제사를 지내는 것보다 365일 내내 붙어 있는 게 더 힘들다" "법적으로 직접 부모를 모시고 산 자식에게 더 큰 지분을 주게 돼 있다" "딸 덕을 봤으면서 아들에게 재산을 더 내주는 것은 딸을 이용하기만 한 것" 등의 댓글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