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만에 베트남인과 한국인의 혼인 건수가 크게 늘었다. 사진은 지난 2021년 3월18일 서울 시내의 한 국제결혼 중개업체. /사진=뉴스1
1년만에 베트남인과 한국인의 혼인 건수가 크게 늘었다. 사진은 지난 2021년 3월18일 서울 시내의 한 국제결혼 중개업체. /사진=뉴스1

베트남인과 한국인의 혼인 건수가 1년 만에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베트남 남성과 결혼한 한국 여성의 재혼 비중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과의 혼인 건수는 1만9700건이다. 이는 전년보다 3000건(18.3%) 증가한 수치다. 이에 지난해 혼인건수는 지난 2021년보다 2000건 늘었다. 지난 2011년 이후 12년만에 반등했다. 이에 반해 지난해 내국인 혼인 건수는 전년보다 1000건 줄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한국인 남성의 사례는 1만4700건이었다. 외국인의 국적은 베트남이 33.5%로 가장 많고 이어 중국(18.1%), 태국(13.7%)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했을때 베트남 여성과의 혼인 건수는 48.3%가 늘었다. 중국(16.9%), 태국(4.4%)도 증가했지만 베트남 여성과의 혼인 증가율이 가장 압도적이다.

지난해 한국 여성과 외국인 남성의 혼인은 5000건(25.4%)이었다. 외국인 남편의 국적은 미국이 27.7%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국(18.4%), 베트남(15.8%) 순이었다.


외국 남자와의 혼인건수가 모두 증가했지만 증가율로는 베트남이 1위다. 미국(0.4%), 중국(22.8%)에 비교하면 베트남의 증가세는 무려 35.2%로 가장 높았다.

최근 10년동안 미국·중국·캐나다 등 국적 남성과의 결혼은 모두 줄었다. 반면 베트남 남성과의 결혼 증가세는 더욱 눈에 띈다. 한국 여성과 베트남 남성 간 결혼 건수는 10년 전인 2014년 283건에 그쳤다. 하지만 지난 2023년에는 792건으로 증가했다. 9년동안 3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1748→ 1386건), 중국(1579→ 921건), 캐나다(481→ 281건), 호주(249→ 158건) 국적 남성과의 결혼 건수는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베트남 여성과 결혼한 한국인 남성 4923건 중 초혼은 3256건으로 66%를 차지했다. 재혼은 1667건(34%)이었다. 반면 베트남 남성과 결혼한 한국인 여성은 전체의 95%(752건)가 재혼으로 나타났다. 초혼은 40건(5%)으로 매우 미미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결혼 이민으로 한국 남성과 결혼한 베트남 여성이 한국 국적을 취득한 후 베트남 남성과 재혼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통계청 혼인·이혼 통계 마이크로데이터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확인됐다. 지난 2022년 기준 베트남 남성과 재혼한 한국 여성은 총 556명 중 482명이 귀화한 한국인이었다. 전체의 86.7%를 차지한 수치다. 이들 중 국적 확인이 어려운 2명을 제외했을 때 480명의 귀화 전 국적은 모두 베트남이었다.

현행법상으로 결혼 이민 비자를 통해 입국한 외국인이 혼인 관계를 2년 이상 유지하면 귀화 신청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