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초를 하던 중 벌에 쏘이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사진은 지닌해 제주시 용강동 한 가족묘지를 찾은 후손. /사진=뉴스1
벌초를 하던 중 벌에 쏘이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사진은 지닌해 제주시 용강동 한 가족묘지를 찾은 후손. /사진=뉴스1

무더운 날씨 등 벌의 활동이 활발해 지면서 추석을 앞두고 벌초를 하던 중 성묘객이 벌에 쏘이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2일 뉴스1에 따르면 광주시·전남도소방본부는 전날 오전 8시14분쯤 광주 북구 본촌동에서 벌초 작업중 A씨(80) 등 일가족 3명이 벌에 쏘였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A씨 등은 소방당국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 같은날 오전 7시43분쯤에는 전남 해남군 계곡면에서 벌초하던 50대 B씨와 60대 C씨 등 2명이 머리와 옆구리 등에 벌에 쏘였다. 이들 모두 응급처치를 받은 뒤 병원으로 이송됐다.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것으로 알려졌다.

광주 벌쏘임 사고는 7월 기준 지난해 38건에서 올해 46건으로 21% 증가했다. 전남에서는 지난달 15일까지 324명의 벌쏘임 환자가 발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76명에 비해 57% 증가한 수치다.

벌은 밝은색보다 검고 어두운색 계열의 옷에 공격성을 보이므로 밝은 계열의 옷을 착용해야한다. 소매가 있는 긴 옷을 입어 팔다리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벌을 자극하는 향수와 화장품 등의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