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대학 등록금을 인상하겠다는 대학가의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17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학내 게시판에 등록금 인상 반대의 내용이 담긴 대자보가 붙어 있다. 2025.1.17/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
(서울=뉴스1) 이강 기자 = 서울 소재 주요 대학들이 일제히 등록금 인상을 결정한 가운데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공의 학생들이 형평성에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이 일정 비율의 등록금 인상을 확정하면서다.
인문·상경계 학생들이 평균 약 350만 원의 등록금을 내는 데 비해 예체능, 이공계 학생들의 등록금은 450만 원대로 평균보다 100만 원가량 높다. 소위 '의치한약수'로 불리는 의학 계열의 경우 한 학기 등록금이 550만 원을 넘는 경우도 허다하다.
K 대학교 약학대학에 재학 중인 성 모 씨(25·남)는 "지금도 550만 원 넘게 냈는데 이제 한 학기에 600만 원이 넘어간다"며 "약대는 6년이라서 졸업까지 최소 7200만 원이 드는 셈이라 부담이 크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성 씨는 "학교 측에서는 학생회에 '타 대학보다 저렴한 등록금'을 인상 이유로 제시했는데 약학대학은 전국 4위 수준"이라며 "인상 비율에 차등을 두는 방안도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전국대학힉생네트워크 구성원들이 22일 오전 2025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총회가 열리는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등록금 인상을 반대하는 피케팅을 하고 있다. 2025.1.22/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
대학 '등록금 환원' 대안 제시…재학생은 '불신'
예술계열을 전공하는 학생들도 형평성에 불만을 제기했다. 성균관대 예술대학 영상학과에 재학 중인 이지아 씨(23·여)는 "이미 타 전공보다 높은 등록금을 내고 있는데 인상 폭이 너무 크다"며 "대학 측이 제시한 '등록금 환원'도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이 씨에 따르면 일반 학생들이 오가는 통로가 미술학과 작품들의 보관 및 전시 장소로 사용되고 있으며, 영상학과 학생들이 이용하는 장비는 못 쓸 지경이다. 이렇다 보니 '등록금 환원'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대학을 불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부수적인 비용도 문제다. 이 씨는 "졸업작품이나 과제를 위한 비용은 사비로 나간다"며 "학교 측에서 등록금 환원을 대안으로 제시했으면 조금이라도 지원해야 할 부분"이라고 주장했다.
인문·사회계열 학생들보다 100만 원가량 높은 등록금을 지불하고 있는 이공계 학생들은 동일 비율 인상에 대한 불만에 더해 '형평성 있는 등록금 환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려대 기계공학부에 재학 중인 권 모 씨(22·남)는 "성적장학금이 기준이 현재 과별로 다르다"며 "이공계는 상대평가로 인한 경쟁이 심해 어문계열보다 학점을 받기 어려워 더욱 불공평하다"라고 말했다.
권 씨에 따르면 고려대는 학점을 상대적으로 받기 쉬운 어문계열의 경우 학장상(17학점 이상 4.5)을 받으면 전액장학금을 받지만 이공계는 학장상을 수상해도 등록금의 30%만 지급하고 있다.
이번 등록금 인상을 두고 재학생의 목소리가 인상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왔기에 대학을 불신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재학생 측이 반대해도 등록금 인상을 막을 수 없는 구조가 문제라는 지적이다.
연세대 총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는 "등록금 인상에서 학생위원 5인 전원 반대에도 불구하고, 교직원위원 및 전문가위원 6인이 찬성해 2차 조정안이 확정됐다"며 "학생위원 전원 반대에도 이뤄진 등록금 인상에 유감을 표한다"는 내용을 지난달 24일 비대위 SNS에 게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