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 2577.27 증감 아이콘 2.21 05/11 07:54
  • 코스닥 722.52 증감 아이콘 7.07 05/11 07:54
  • 원달러 1399.80 증감 아이콘 7.1 05/11 07:54
  • 두바이유 63.91 증감 아이콘 1.74 05/11 07:54
  • 금 3344.00 증감 아이콘 38 05/11 07:54
로고
채널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인스타그램 아이콘
  • 트위터 아이콘
  • 유튜브 아이콘
  • 네이버포스트 아이콘
  • 네이버TV 아이콘
  • 카카오플러스친구 아이콘
로그인 아이콘
  • 실시간이슈
  • 금융
  • 산업
  • 유통
  • 부동산
  • 증권
  • 전국
    • 경기
    • 부산/경남
    • 호남
    • 대구/경북
    • 인천
    • 기타
  • 오피니언ㆍ연재
    • 오피니언
    • 연재
  • 피플
    • C라운지
    • 이사람
    • 인터뷰
    • 인사
    • 부고
  • 연예ㆍ스포츠
    • 연예
    • 스포츠

[속보] 김문수 "한덕수 회동… 의미있는 진척없어 안타까워"

작성자

김서연 기자

작성일

2025.05.07 | 19:33:34

  • 프린터 아이콘
  • 공유 아이콘
  • 글자 확대 아이콘
  • 글자 축소 아이콘

공유하기

  • 카카오 공유 아이콘

    카카오

  • 카카오 나에게 공유 아이콘

    카카오 나에게

  • 페이스북 공유 아이콘

    페이스북

  • 트위터 공유 아이콘

    트위터

  • 네이버 공유 아이콘

    네이버

  • 텔레그램 공유 아이콘

    텔레그램

  • 링크 복사 아이콘

    링크 복사

  • 카카오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카카오톡
  • 카카오 나에게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카카오톡나에게
  • 페이스북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페이스북
  • 트위터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트위터
  • 네이버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네이버카페블로그
  • 텔레그램 공유 아이콘
    툴팁 아이콘 텔레그램
  • 링크 복사 아이콘
    툴팁 아이콘 링크복사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기자 이미지

    김서연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오른쪽 화살표 아이콘

주요뉴스

  • "50대 상사가 목 조르고 조몰락조몰락"… 20대 여직원 하소연
  • 김문수, 당원투표로 자격 회복… 국힘 대선 후보 교체 결국 '불발'
  • "화장실·엘리베이터 무료 이용"… 황당한 '직원 복지' 내건 회사
  • 돌봄은 사치, 많이 낳으면 손해… '가족 꾸릴 용기'가 필요한 나라
  • 1171회 로또 1등 21명 당첨… 당첨금 각 11억2835만원 받는다

머니S리포트

머니S 리포트 이미지

효도 선물 놓치지 마세요

가정의 달 재테크 팁

머니S 데스크칼럼

로고
김노향 머니S 건설부동산부장

[데스크칼럼] 새 대통령에게 바라는 부동산정책

"건물주는 부동산 가격이 오르기만 바랄 것이라는 건 선입견입니다. 집값은 경제 성장과 국민 소득에 따라 정상 속도로 상승해야 합니다. 다음 정부는 부동산 산업의 구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했으면 좋겠습니다."국내 굴지의 대기업을 퇴직하고 부동산 임대사업을 하는 한 지인은 한국 사회의 경제 불균형을 초래한 최대 원인으로 집값 문제를 지목했다.경제가 성장하는 한 부동산 가격은 상승해야 한다. 문제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 투자로 집값을 지탱하는 현 부동산 구조에선 비정상 폭등과 폭락에 따른 경제 피해가 산술적으로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아파트 시세가 감정가 이하로 하락하면 주택담보대출을 승인한 은행은 원금 상환을 압박하게 된다. 경매 시장에선 영끌 투자자의 아파트가 반복 유찰되는 현상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집값이 수십억 올라도 현금화해 주거 다운그레이드를 실행할 수 있는 실수요자는 소수임을 감안할 때 대부분의 도시 생활자에게 집값 상승은 득보다 실이 많다. 가장 먼

많이 본 뉴스

이전
  • 종합
  • 실시간이슈
  • 금융
  • 산업
  • 유통
  • 부동산
  • 증권
  • 전국
  • 오피니언/연재
  • 피플
  • 연예/스포츠
다음
  • 종합 많이 본 뉴스 이미지

    "50대 상사가 목 조르고 조몰락조몰락"… 20대 여직원 하소연

    2

    김문수, 당원투표로 자격 회복… 국힘 대선 후보 교체 결국 '불발'

    3

    "화장실·엘리베이터 무료 이용"… 황당한 '직원 복지' 내건 회사

    4

    상지건설, '대선 테마'로 묶이자 투기세력만 배불려

    5

    돌봄은 사치, 많이 낳으면 손해… '가족 꾸릴 용기'가 필요한 나라

  • 실시간이슈 많이 본 뉴스 이미지

    "50대 상사가 목 조르고 조몰락조몰락"… 20대 여직원 하소연

    2

    김문수, 당원투표로 자격 회복… 국힘 대선 후보 교체 결국 '불발'

    3

    "화장실·엘리베이터 무료 이용"… 황당한 '직원 복지' 내건 회사

    4

    돌봄은 사치, 많이 낳으면 손해… '가족 꾸릴 용기'가 필요한 나라

    5

    1171회 로또 1등 21명 당첨… 당첨금 각 11억2835만원 받는다

  • 금융 많이 본 뉴스 이미지

    "폐지수거 어르신들, 우리가 있어요"… 8년째 돕는 KB손보 임직원들

    2

    산업은행, 6년 만에 베트남 하노이 진출… 지점 설립 인가

    3

    서수동 메리츠화재 부사장, 윤리경영실장으로 복귀

    4

    KB금융, 푸드트럭 사장님 돕는다…'KB착한푸드트럭' 2차 사업 추진

    5

    하나은행, '비대면 AI 수출 심사 서비스' 출시… "서류 하자 유무 확인"

  • 산업 많이 본 뉴스 이미지

    K-배터리, 점유율 18%까지 하락… "독일 시장 경쟁력 하락"

    2

    넷플릭스 요금 인상에 쿠팡플레이 무료 초강수… 네이버 "멤버십 요금제 유지"

    3

    이재용 회장, 다음주 일본 간다… 오사카 엑스포 '한국의날' 참석할 듯

    4

    "KTX 타는 데 5분"… HDC, 용산역-정비창 연결 추진

    5

    티웨이항공 타고 크로아티아 가면 최대 10% 할인

  • 유통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여행픽] 5월엔 향긋한 장미축제 어때요

    2

    계란·돼지고기 가격 다 오르네… 비싼 장바구니 물가 불안 여전

    3

    딘트, 로맨틱 감성 담은 '리조트룩 컬렉션' 공개

    4

    지멘스 헬시니어스 "친환경 기술력 접목한 MRI 제품 대두"

    5

    빙그레,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 부동산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사고 제로' 위해 뭉쳤다… 건설 CEO들 현장으로 출근

    2

    "땡큐 대선" 세종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 1위… 집주인 매물 거둔다

    3

    "KTX 타는 데 5분"… HDC, 용산역-정비창 연결 추진

    4

    전현무 사는 '이곳'… 역사상 경매 최고가 '130억원' 낙찰

    5

    10조 국가사업 가덕도 공항 졸속 논란… 건설업계 "공사 리스크 크다"

  • 증권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상지건설, '대선 테마'로 묶이자 투기세력만 배불려

    2

    "주주환원 관심" 증권사 중 자사주 소각 가장 많은 곳은

    3

    '한덕수 대선후보' 교체에 정치 테마주 소용돌이… "변동성 주의보"

    4

    이재용 회장, 다음주 일본 간다… 오사카 엑스포 '한국의날' 참석할 듯

    5

    지멘스 헬시니어스 "친환경 기술력 접목한 MRI 제품 대두"

  • 전국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임태희 교육감 "과학기술 최고의 자원, 공유학교와 연결할 것"

    2

    "KTX 타는 데 5분"… HDC, 용산역-정비창 연결 추진

    3

    [동정] 김동근 의정부시장, '미래가치 공유플러스+의 날' 참석

    4

    양주시, 지적재조사사업 속도…운암지구 403필지 대상

    5

    [고흥소식] 어린이들을 위한 실내 드론 체험 놀이터 조성

  • 오피니언/연재 많이 본 뉴스 이미지

    [여행픽] 5월엔 향긋한 장미축제 어때요

    2

    [헬스S] "만세 하고픈데 안 된다고요?"

    3

    투표로 태어난 '국민 아버지'… 넬슨 만델라, 대통령 취임 [오늘의역사]

    4

    [이사람] '1% 확률' 깬 레오 14세… 진보·보수 아우르는 포용력

    5

    [헬스S] 홍당무 같은 내 얼굴… 알고 보니 '이것' 때문

  • 피플 많이 본 뉴스 이미지

    "학교 가고 싶어도 못 가"… 의정 갈등 1년, 의대생이 원하는 대통령은

    2

    [부고] 조성현(HL만도 부회장)씨 부친상

    3

    강신영 KB운용 수석 "휴머노이드 로봇 ETF는 미래 가능성에 대한 투자"

    4

    부동산개발 전문운용사로 도약… 오름자산운용, 조직개편 단행

    5

    이중근 부영 회장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하자"

  • 연예/스포츠 많이 본 뉴스 이미지

    김보라·조바른 감독, 결혼 11개월만 파경… "최근 절차 마무리"

    2

    '구준엽 처제' 서희제 "서희원, 든든한 버팀목… 마음 여린 사람"

    3

    '창원 안 간다' NC, 16일 '울산' 홈 경기 열어… 복귀는 추후 결정

    4

    '어지럼증 호소' LG 오스틴, 대구 3연전 불참… "휴식 후 복귀"

    5

    '노쇼 예약' 남궁민도 당했다… "회식 명목 고액 주문, 매니저 사칭 주의"

이사람

로고
새 교황 당선된 &#039;레오 14세&#039;가 1% 확률을 이겨냈다. 사진은 지난 8일(현지시각) 레오 14세(가운데)가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서 인사하는 모습. /사진=로이터

[이사람] '1% 확률' 깬 레오 14세… 진보·보수 아우르는 포용력

레오 14세가 당선 확률이 1%를 깨고 가톨릭 역사상 처음으로 미국인 교황이 됐다.지난 8일(이하 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암호화폐(가상화폐) 기반 세계 최대 예측 시장인 폴리마켓에서 레오 14세 당선 확률은 1%였다. 하지만 그는 1%대 확률을 깨고 교황으로 당선됐다.로마 교황청이 새롭게 선택한 교황 레오 14세는 미국 시카고 출신이다. 그동안 가톨릭 교계에서 미국인 교황은 금기였다. 미국은 정치·경제·군사 분야에서 이미 세계 패권국이기 때문에 교황직까지 미국인에게 돌아갈 경우 가톨릭교회가 특정 국가 영향 아래 놓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하지만 레오 14세 교황은 금기를 깼다. 이는 그가 교황청의 진보파와 보수파 모두를 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미국 출신이지만 사제 서품을 받은 후 20년 이상 페루에서 사목한 점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2015년 페루 시민권을 획득했다. 레오 14세는 2001년부터 12년 동안 공동체 생활을 강조하는 아우

여행픽

로고
5월이면 전국 곳곳에서 장미 축제가 열린다. 사진은 중랑 서울장미축제. /사진=한국관광공사

[여행픽] 5월엔 향긋한 장미축제 어때요

계절의 여왕 5월, 향기로운 장미와 함께 봄나들이 떠나기 좋은 나날이다. 한국관광공사가 각양각색의 매력을 뽐내는 장미 축제 명소를 추천했다. 에버랜드의 로맨틱한 장미 정원부터 곡성의 이국적인 장미 향연, 울산대공원의 테마가 있는 장미, 서울 도심 속 장미 터널까지, 취향 따라 골라 떠날 수 있는 장미 축제를 소개한다.━에버랜드 로로티, 720품종 300만 송이 장미━ 에버랜드에서는 오는 16일부터 장미 축제 "로로티"(Rrt)가 화려하게 펼쳐진다. 로로티는 로즈가든 로열 하이 티(Rose garden Royal High Tea)의 줄임말이다. 720품종, 300만 송이에 달하는 다채로운 장미들이 방문객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알록달록 장미를 배경으로 조성된 테마존은 인생샷 명소로 손꼽힌다. 에버랜드는 축제 준비를 위해 오는 13일까지 장미원 입구 일부 구간의 출입을 제한하니 방문 시 참고하자. ━곡성세계장미축제, 명품 장미 컬렉션 ━ 매년 5월, 전남 곡성 기차마을

포토슬라이드

더보기

더보기 아이콘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영장실질심사 마친 박현종 bhc 전 회장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박현종 bhc 전 회장, '배임·횡령 혐의' 영장실질심사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배임·횡령 혐의' 영장심사 출석한 박현종 bhc 전 회장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bhc 배임·횡령 혐의 '박현종' 전 회장, 구속 갈림길

이전
다음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주식 거래, 이제 저녁 8시까지… 넥스트레이드 개장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김학수 "NXT, 질적 변화 수반된 새로운 도전의 결과물"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김병환 "NXT 출범, 밸류업으로서 굉장히 큰 의미"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이복현 "금감원, 불공정거래 감시체제 강화에 힘 쓸 것"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윤한홍 "NXT 출범 국회도 보탬되록 역할 다할 것"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정은보 "KRX·NXT 적용 제도 원활히 작동토록할 것"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서유석 "넥스트레이드, 투자자 신뢰 바탕으로 더욱 발전"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개장… 막오른 복수 주식시장

이전
다음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이창용 "금리 인하 결정은 금통위원 만장일치"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이창용, 통화정책방향 간담회 참석차 입장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이창용 "금리 0.25% 낮추면 성장률은 0.07% 상승"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이창용 "금통위원 4명, 3개월내 연 2.75% 유지 의견"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이창용 "추경은 보완역할… 20조원 이상은 부작용 커"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이창용 "경기둔화 전망에 금리인하"

이전
다음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기준금리 연 3.00→ 2.75%로 인하 '땅땅땅'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기준금리 인하' 금통위 회의 출석한 이창용 한은 총재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이창용, 기준금리 결정 이창용 총재… "다 잘풀렸으면"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2.75%로 인하

  • 포토 슬라이드 이미지

    이창용 총재, '기준금리 결정' 금통위 회의 주재

이전
다음
  • '횡령·배임 혐의' 박현종 전 bhc 회장, 구속 기로
  •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개장… 자본시장 도약 발판되나
  • 이창용 "금리 0.25% 낮추면 성장률은 0.07% 상승"
  • 금통위, 기준금리 0.25% 인하… 2년여만에 '2%대 시대'

맛집로드

로고
고기로만 우린 맑고 담백한 국물을 기반으로 한 신개념 돼지곰탕의 시대가 열렸다. 사진은 맑은 돼지곰탕의 유행을 이끈 &#039;옥동식&#039; 곰탕. /사진=다이어리알

[맛집로드] 속 풀리는 '시원한 맛' 맑은 돼지곰탕

곰탕은 외식 업계에서 소비자들의 접근성이 좋고 운영자 입장에서 매출도 안정적인 대중 아이템이다. 일반적으로 "곰탕" 메뉴는 대부분 소고기 혹은 우사골을 기반으로 요리하고 "돼지국밥"은 돈사골과 머릿고기, 내장 등을 넣어 뽀얗고 묵직하게 끓여 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 외식 업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아이템 중 하나인 "돼지곰탕"은 기존에 있던 한식 곰탕 혹은 국밥과는 확실한 차별화 요소가 있다. 고기로만 우린 맑고 담백한 국물을 기반으로 얇은 수육과 특색 고명을 얹은 비주얼, 놋그릇이나 도자기를 활용한 깔끔하고 정갈한 담음새, 음식과 결을 같이하는 공간 연출이 그러하다. 여기에 개성 있는 전통주 페어링을 선보이며 "아재들의 성지"로 여겨지던 국밥집 풍경을 바꿔놓고 있다. 이들은 가장 전통적인 한식인 곰탕에 현대적 감각을 더해 트렌드에 민감한 젊은 세대를 흡수했다. 불경기의 여파로 가성비 높은 음식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맑은 돼지곰탕의 인기를 견인하고 있다. ━옥동식━ 맑

bottom 광고 이미지
서비스 전체보기
  • 뉴스
  • 전체
  • 실시간이슈
  • 금융
  • 산업
  • 유통
  • 부동산
  • 증권
  • 전국
  • 경기
  • 부산/경남
  • 호남
  • 대구/경북
  • 인천
  • 기타
  • 오피니언ㆍ연재
  • 오피니언
  • 연재
  • 연예ㆍ스포츠
  • 연예
  • 스포츠
  • 피플
  • C라운지
  • 이사람
  • 인터뷰
  • 인사
  • 부고
  • 스페셜
  • 주요뉴스
  • 랭킹뉴스
  • 머니S리포트
  • S플러스
  • ESG로드
  • 밸류업 라운지
  • 머니S 공식 SNS
  • 페이스북 아이콘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아이콘 인스타그램
  • 트위터 아이콘 트위터
  • 유튜브 아이콘 유튜브
  • 네이버포스트 아이콘 네이버포스트
  • 네이버TV 아이콘 네이버TV
  • 카카오플러스친구 아이콘 카카오플러스친구
홍보 CI 포인트플랜 삼성전자 뉴스룸
로고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독자의견
  • 이용약관
  • 저작권규약
  • 개인정보처리방침

머니앤밸류 | 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11(서린동, 청계한국빌딩 | 제호 : e머니에스 (e money S) |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김형기 |
등록번호 : 서울 아01082 | 등록일/발행일 : 2010.1.5 | 사업자등록번호 101-81-94590 | 통신판매신고번호 제 01-1022호 | 호스팅사업자 주식회사 후이즈 |
전자우편주소 : [email protected] | Tel : 02-724-0959 | 청소년보호책임자 : 차상엽

COPYRIGHT © MONEY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