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일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께서 10월 31일 아침 공화국 전략무력의 절대적 우세를 영구화하는데서 획기적 이정표를 세우는 중대한 시험을 현지에서 직접 지도하시었다"라며 전날 발사한 ICBM의 사진을 공개했다. 북한은 전날 발사한 ICBM의 이름이 '화성-19형'이며 북한의 개발한 ICBM의 '최종완결판'이라고 주장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email protected]

(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미국 국방정보국(DIA)이 북한이 보유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2035년까지 50개로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DIA는 13일(현지시간) 공개한 '골든 돔 미사일 위협 평가' 보고서를 통해 "미국 본토에 대한 미사일 위협이 향후 10년간 더 발전한 재래식 및 핵무기 탑재 가능 운반 체계로 인해 규모와 복잡성 측면에서 확대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은 현재 10기 이하의 ICBM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된다. DIA는 북한이 "미국 본토 전체에 도달할 만한 사거리를 가진 탄도미사일을 성공적으로 시험했다"며 2035년에는 50기를 보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레고리 기요 미군 북부사령관은 이날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북한은 국제 비확산 체제를 계속 무시하며 전략무기 프로그램을 진전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해 10월 처음 시험 발사한 최신 ICBM인 '화성-19'와 관련해 "고체연료 설계로 인해 발사 준비 시간이 단축돼 북미 전역의 목표물에 핵탄두를 투하할 수 있으며, 우리의 발사 전 경고 능력을 크게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요 사령관은 북한이 "전략무기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 단계에서 양산 및 배치 단계로 전환하려는 의도를 보여주고 있다"며 "이 과정은 북한이 무기 재고를 급속히 늘리고 향후 몇 년간 북부사령부의 탄도미사일 방어 능력에 대한 신뢰도를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국제분쟁 발생 가능성에 대해 그는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이 미국과의 무력 충돌을 피하려고 하지만, 서방의 쇠퇴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세계 무대에서 미국에 도전할 의지와 위기 발생 시 오판의 위험을 키웠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평화로운 통일을 포기하고 국제 무대에서 더 강경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70년 이상의 불안정한 정전 상태 속의 한반도에서 새로운 갈등이 재발할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한 북한에 파병의 대가로 첨단 전략무기 개발을 가속할 수 있는 전문지식을 줬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