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백악관은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만료(7월8일)를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주중 국가별 관세율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30일(이하 현지시각) 캐롤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상호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에 대해 질문받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유예 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며 "그는 그들(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선의로 협상하려 하지 않는다면 많은 나라들에 관세율을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레빗 대변인은 "그(트럼프 대통령)는 이번주에 그 일을 하기 위해 무역팀과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지난 4월9일 발효했다가 13시간 만에 90일 동안 유예(중국 제외)하는 결정을 내렸다. 유예 기간이 오는 8일 끝나기 때문에 연장이 되지 않을 경우 오는 9일부터 상호관세가 부과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유예기간 각국과 관세율,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철폐 등을 의제로 삼아 무역협상을 진행해왔고, 이미 영국과는 합의를 도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현재 무역 협상을 진행 중인 일본에 상호관세 관련 서한을 보내겠다고 했다. 그는 "미국에 대해 다른 나라들이 얼마나 버릇없어졌는지를 보여주는 예를 들겠다"며 일본의 미국산 쌀 수입 문제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그저 일본에 서한을 보낼 것"이라며 "미국과 일본이 앞으로도 오랫동안 무역 상대국으로 함께하길 바란다"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