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최근 미국 상원의회에서 논의 중인 국방수권법안(NDAA) 내 주한미군 관련 조항에 대해 미국 측과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전했다. 사진은 외교부 청사 전경. /사진=뉴시스

외교부가 최근 미국 상원 의회에서 논의 중인 국방수권법안(NDAA) 내 주한미군 관련 조항에 대해 "정부는 미국 의회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미국 측과 긴밀히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14일 뉴스1에 따르면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입법이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삼가고자 한다"며 "주한미군은 한미동맹 상징이자 근간으로 지난 70여년 동안 한반도와 역내 평화·안정에 기여했다"고 전했다.


미 상원 군사위원회는 지난 11일(현지시각) 2026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NDAA) 초안을 가결하며 국방장관이 국익에 부합한다고 의회에 보증하기 전까지 주한미군 감축을 금지하는 조항을 포함했다.

이번 조항은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처럼 주한미군 감축을 견제하는 장치로 해석되지만 실질적 제약 수단이었던 '예산 사용 금지' 조항은 빠져 감축 가능성을 열어뒀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 의회는 최근까지 주한미군 약 2만 8500명 규모를 유지한다는 점을 국방수권법에 명시하며 초당적 지지를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