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이 미국 관세로 디스플레이 소비가 둔화할 수 있는 만큼 상황을 잘 예의주시하겠다고 언급했다. 북미 빅테크 기업 수주 등 새로운 도전에 대한 의지도 드러냈다.
이 사장은 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의 만나 "관세로 가격이 오르면 결국 소비가 둔화할 가능성도 높다"며 "고객사들도 비즈니스를 보수적으로 운영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된다"고 했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에 10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국은 최혜국 대우를 받을 예정이지만 타격을 피하기는 쉽지 않단 관측이다. 이 사장은 "고객사향 제품에 반도체가 많이 포함돼 결국 고정비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며 "결국 제품 가격이 올라가는 만큼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여러 부품 업체의 가격 인하 압박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최근 삼성전자가 테슬라 등 미국 빅테크 기업 수주에 잇따라 성공하는 것을 두고선 "저희는 새로운 곳에 도전할 자세와 의지를 모두 갖추고 있다"며 "(도전은) 당연히 해야 하는 거고, 이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 등의 제품 공급 범위를 앞으로 더 확장하겠단 의지로 해석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대해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 사장은 "폴더블 시장은 이미 저희가 주도하고 있다"면서 "기술 난도가 굉장히 높은 데다가 저희가 제일 먼저 시작한 분야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 주도할 거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삼성전자에게 굉장히 좋은 폴더블 폰을 만들었다"며 "내년 그리고 이후에도 더 많은 고객사들의 폴더블 폰에 대한 출하가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갤럭시 Z 폴드·필립 시리즈에 들어가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생산·공급한다.
마이크로 LED 양산 시점에 대해선 "많은 준비를 하고 있고, 내부적으로 개발 단계에 있다"면서도 "양산은 고객사들의 준비가 될 때 가능하기 때문에 그 부분이랑 잘 매칭되어야 할 것 같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