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템플바 스트리트'(Temple Bar Street). 스무개가 넘는 아이리시 펍(Pub)이 빼곡히 들어선 이 지역은 더블린 유흥의 심장부다.
아일랜드에 머무는 동안 취재진은 하루도 거르지 않고 이곳을 찾았다. 가까운 펍에 뛰어들어가 "다크!"(Dark) 한마디만 외치면 금세 기네스 흑맥주가 테이블에 놓인다. 쌉싸름한 흑맥주와 감자를 곁들인 아이리시 스튜, 바다향이 살아 있는 피쉬앤칩스를 앞에 두면 이 섬나라에 매혹되지 않을 도리가 없다.
아이리시 펍의 진정한 묘미는 식(食)보다 락(樂)에 있다. 인구 530만명의 나라 아일랜드에는 무려 8000개 가까운 펍이 있을 정도로 펍 문화는 아일랜드인의 일상과 맞닿아 있다. 낯선 이와도 금세 술잔을 부딪히며 친구가 되고 대화와 웃음을 나누는 데 주저함이 없다. 취재진 역시 기네스 잔을 기울이며 서툰 영어로 대화를 이어가던 밤, 몇 번이나 "씨유"(See you)를 외쳤는지 모른다. 그 자유롭고도 열린 분위기 속에서 아일랜드인의 삶에 스며든 개방성이 자연스레 드러났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개방적인 국가의 모습은 과거 아일랜드가 위기를 헤쳐 나갈 때도 그대로 드러났다. 1973년, 아일랜드가 유럽공동체(EC)에 정식 가입했을 당시 아일랜드 경제는 끝 모를 추락에 빠져 있었다. 실업률은 17%라는 충격적 수치를 기록했고 제조업은 몰락 직전에 놓였다. 당시 아일랜드가 선택한 길은 문을 더 활짝 여는 것이었다. 위기 해법으로 정면승부를 선택한 셈이다.
![]() |
이 덕분에 다국적 기업들의 진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났고 불과 한세기 만에 '켈틱 타이거(Celtic Tiger)의 포효'라 불린 기적의 반전이 가능했다. 애플·페이스북·구글이 속속 아일랜드에 둥지를 틀었고 이후로도 숱한 글로벌 기업들이 가세했다. 현재 아일랜드는 정보통신기술(ICT)·금융·바이오 등의 분야에서 1800개 이상 다국적 기업들이 진출해 있는 유럽의 대표적 거점이 됐다. 고부가가치 첨단기업들이 집중되면서 노동생산성 세계 1위까지 차지했다.
'초청에 의한 산업화(Industrialization by Invitation) 전략'
![]() |
사실 아일랜드는 부족한 산업기반 탓에 국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어쩔 수 없이 '생존 이민'을 떠나야하는 열악한 상황에 오랜 기간 놓여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해외기업 유치에 나섰고 과감한 세제 인센티브를 부여했다. 아일랜드는 2003년 법인세 표준세율 12.5%로 정한 이래 20년 넘게 똑같은 세율을 고수해 왔다.
그렇다고 단순히 낮은 세율만이 아일랜드의 성공의 비밀은 아니다. 유럽 내에는 헝가리(9%), 불가리아(10%) 등 더 낮은 세율을 제공하는 국가들이 즐비하다. 박선민 코트라 런던무역관 연구관은 "아일랜드는 낮은 법인세율이 대표적인 성공 요인으로 꼽힌다"면서도 "이에 더해 ▲세제 안정성 ▲EU 단일시장 접근성 ▲영어권 국가 ▲고학력 인력풀 ▲기업 친화적 규제와 인센티브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겹쳐져 있다"고 아일랜드의 매력을 분석했다.
대표적으로 해외자본 유치를 위한 아일랜드 정부의 진정성도 매력 요인의 하나다.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 전담 기관인 아일랜드 투자개발청(IDA)은 기업들의 정착과 성장을 돕는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비자·부동산·보조금 문제까지 밀착 지원했다. 세제 혜택을 넘어 연구개발(R&D), 친환경 기술, 인력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보조금과 맞춤형 인센티브를 제공해 기업의 장기 투자를 세밀하게 독려했다.
미쉘 윈트럽 주한 아일랜드 대사는 "아일랜드 경제의 회복력(resilience)은 개방성 위에 구축돼 있다. 세계와 긴밀히 연결될수록 선택지는 넓어지고 취약성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아일랜드는 주요 산업,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이들이 우리의 진지한 의지를 이해하도록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며 "아일랜드에 뿌리내린 글로벌 기업들은 스스로를 '아일랜드 기업'에 가깝게 여긴다"고 했다.
![]() |
아일랜드가 외국인 투자 유치에 얼마나 공을 들여왔는지는 1989년 말 인텔의 첫 공장 설립 과정에서 잘 드러난다. 당시 인텔은 유럽 내 생산 거점을 물색하며 웨일스, 스코틀랜드, 네덜란드, 독일 등과 협상을 벌였다. 각국이 파격적인 혜택을 내세우며 구애전을 펼쳤지만 인텔의 최종 선택은 아일랜드였다.
인텔은 더블린 서부 리크슬립(Leixlip)에 첫 반도체 공장, '팹'(Fab)을 짓기로 결정했고 아일랜드 정부는 이에 8700만파운드(약 1500억 원)에 달하는 자본 보조금을 지원했다. 이밖에도 IDA는 인허가 밀착 지원, 연구개발(R&D) 세액공제, 인재 육성 등 원스톱 지원 체계를 전면에 내세웠다. 당시 IDA는 해외로 이주했던 핵심 기술 인력을 다시 불러들이는 데까지 나서는 등 숙련된 노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그 파트너십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세이머스 캐럴 아일랜드 산업개발청(IDA) 반도체 기술 부사장은 "인텔은 2023년에도 리크슬립에 유럽에서 가장 앞선 반도체 공장인 '팹 34'를 개소했다"며 "170억유로 규모의 이번 투자를 포함해 인텔의 리크슬립 총 투자액은 300억유로에 달한다"고 말했다.
아일랜드 정부는 다국적 기업 덕분에 재정적으로 풍요로워졌다. 지난해 법인세 세수는 281억유로(약 45조5000억원)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 중 외국계 기업이 낸 세금이 88.2%에 달했다. 외국계 기업이 법인세 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86.5%, 2023년 83.8%에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