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의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을 수사 중인 내란특검이 최근 국민의힘 현역 의원 4명을 조사했다. 추석 연휴 이후 의혹의 핵심 인물인 추경호 전 원내대표에 대한 소환 조사가 이뤄질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6일 법조계에 따르면 조은석 특별검사가 이끄는 내란특검팀은 최근 국민의힘 소속 현역 의원 4명을 서울고검 청사로 소환해 참고인 조사를 실시했다. 국민의힘 의원이 특검 조사에 응한 것은 지난 8월 조경태·김예지 의원 이후 두 달여 만이다. 이들은 비공개 조사를 조건으로 특검 수사에 협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번에 조사받은 의원 중엔 계엄 당일 추 전 원내대표와 함께 원내대표실에 머물며 표결에 불참한 의원 2명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특검은 이들의 진술을 통해 추 전 원내대표가 본회의장으로 이동하지 않은 경위와 당시 상황을 면밀히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지시를 받아 의원총회 장소를 수차례 변경하는 방식으로 소속 의원들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고의로 지연시켰는지 여부를 집중 수사하고 있다.
그간 국민의힘 의원들은 특검 수사를 '정치 수사'로 규정하며 집단적으로 조사를 거부해왔다. 이에 특검은 우원식 국회의장과 민주당·조국혁신당 의원들, 국민의힘 당직자 등을 광범위하게 조사하며 계엄 당일 국회 내부 상황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박지영 내란특검 특검보는 지난 1일 브리핑에서 "국민의힘 의원 일부를 조사했다"며 "진상 규명에 차질이 없도록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추 전 원내대표 소환 시기에 대해선 "다양한 시각에서 사건을 검토할 수 있도록 충분한 조사 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특검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에 대한 조사 필요성도 강조하고 있다. 한 전 대표가 당시 당 대표로서 내부 의사결정 과정을 가장 잘 알고 있으며, 자신의 저서에서 국회 상황을 상세히 서술한 점을 고려할 때 증인 신문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특검은 한 전 대표의 진술을 통해 추 전 원내대표의 표결권 방해 혐의에 대한 피해자 특정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추 전 원내대표 역시 "특검이 신속히 조사해 결론을 내려주길 바란다"며 특검 소환에 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