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은 지난 7일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항공응급콜 위탁 운영 기관인 인하대병원과 '제1회 항공응급콜 전문성 및 리스크 관리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최근 고령 환자 승객이 늘고 장거리 노선이 확대됨에 따라 갑작스러운 기내 응급 의료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통합 항공사 출범을 앞두고 계열사 관계자들도 참여해 환자 승객 운송 체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사내외 의료 전문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프로그램은 ▲항공응급콜 및 지상의료체계 운영 현황 ▲환자 승객 항공운송 사례 발표 ▲국외 항공의학 주요 동향 ▲전문 교수 초청 강연 등의 순으로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항공 의료 리스크 관리 능력과 대응 역량을 고도화하는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대한항공은 2016년부터 인하대병원을 위탁기관으로 지정, 기내 위상전화로 24시간 전문 의료진의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 '항공응급콜'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기내 의료진의 응급처치와 관련한 법적 보호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현재 국내법에서는 선의의 의료 행위에 대한 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법적 장치가 마련돼 있다. 실제로 기내 응급처치 상황에 대처했던 의료진에 대한 국내 소송 사례는 없지만, 대한항공은 책임보험을 통해 변호사 선임 비용 등 소송 방어 비용을 지원하는 기내 의료진 보호 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설명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은 통합 항공사 출범 대비 전문지식과 표준 프로토콜을 공유함으로써 통합 항공 의료 서비스 표준을 조기 확립하고 안전 경쟁 우위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대한항공은 올해 첫 '항공응급콜 전문성 및 리스크 관리 심포지엄' 개최를 시작으로 매년 1회 이상 정례화해 기내 응급 상황 대응 역량을 고도화하고 안전 경쟁력을 체계적으로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